세마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정9품 관직.
제도/관직
소속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내용 요약

세마(洗馬)는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정9품 관직이다. 세자익위사는 세자의 호위를 담당하던 관서였으며, 계방(桂坊)이라고도 하였다. 익위사의 관직은 무반직이었으나 문반도 임명되었다. 세자가 궁궐 밖으로 거동할 때 의장을 준비하여 들고 호위하였다. 세자가 궁궐 안에서 거동하거나 각종 의례에 참석할 때 호위를 맡았다. 세자를 가까이에서 호위하는 만큼 신뢰도와 충성도가 중요한 관직이었고, 때로는 외척이나 공신의 자제들을 임명하기도 하였다.

정의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에 소속된 정9품 관직.
설치 목적 및 변천

조선시대, 세자익위사에 소속된 정9품 관직으로, 좌세마(左洗馬)와 우세마(右洗馬) 각 1명씩 모두 2명이 임명되었다. 세자익위사는 세자의 호위를 담당하던 관서이다. 정5품 좌익위 · 우익위 이하 14명의 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주1이라고도 하였다. 세자익위사의 관직은 무반직이었으나 문반도 임명되었다.

세자익위사 관원들은 매일 2명이 주2하였는데, 참상관은 상번(上番), 참하관은 하번(下番)으로 나누어서 입직하였다. 세자익위사의 참상관은 정5품 관직으로 좌우 익위, 종5품 좌우 주3, 정6품 좌우 익찬(翊贊), 종6품 좌우 주4이 있었으며, 참하관으로는 정7품 좌우 주5, 정8품 좌우 주6을 두었고, 좌우 세마가 정9품 관원이었다.

임무와 직능

세자익위사 관원들은 세자가 궁궐 밖으로 거동할 때 의장을 준비하여 들고 호위하였는데, 세마는 위솔 이하 관원들과 함께 주7 행렬의 뒤를 따라 갔다. 세자의 행렬이 환궁한 후 우세마가 휘지(徽旨)를 가지고 나가 대열을 마무리하였다. 세자가 궁궐 안에서 거동할 때는 좌우로 나누어서 수행하였다.

세마는 익위사 관원들과 함께 세자의 각종 의례에 참석하여 호위하였다. 세자가 성균관 입학례를 치를 때에는 명륜당 문밖을 호위하였고, 서연에 참석할 때에는 서연관들이 강(講)하는 곳의 뜰 아래에 서서 호위하였다.

세자의 관례가 시행될 때에는 좌우로 나뉘어서 주8의 동서에 차례로 시립하였다. 세마에 대한 주9병조에서 담당하였는데, 이는 세종 대 익위사를 병조에 예속시켰던 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세자가 즉위한 후에는 세마를 포함한 참하관들은 참상관으로 주10되는 시혜를 받았다.

의의 및 평가

세마는 세자익위사 관원 중 품계는 낮았지만 외척을 임명하여 세자를 지근에서 보필하도록 하였다. 효종 대에 김우명의 딸 후의 [명성왕후(明聖王后)]이 세자빈으로 간택되자 가례를 거행할 때 김우명을 세마에 임명하였다. 익위사의 관원들은 세자를 주11에서 호위하였는데, 칼과 화살을 가지고 주12하기 때문에 신뢰도와 충성도가 중요한 관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외척, 때로는 공신들의 자제를 세마에 임명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세종실록(世宗實錄)』
『시강원지(侍講院志)』
『육전조례(六典條例)』
『효종실록(孝宗實錄)』

단행본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민속원, 2008)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김영사, 2003)
주석
주1

동궁(東宮)이 있던 곳.    우리말샘

주2

관아에 들어가 차례로 숙직함. 또는 차례로 당직함.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궁중의 가마나 말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내사복(內司僕)과 외사복(外司僕)이 있었으며, 태조 원년(1392)에 설치하여 고종 2년(1865)에 폐했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세자익위사에 속하여 왕세자의 시위를 맡아보던 종육품 무관 벼슬. ⇒규범 표기는 ‘우위수’이다.    우리말샘

주5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7품 벼슬. 좌부솔(左副率)·우부솔(右副率)이 있었다.    바로가기

주6

조선시대,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정8품 벼슬. 태조(太祖) 원년(1392)에 세자(世子)의 관속(官屬)으로 좌·우시직을 두었고, 태종 4년(1404)에 공신(功臣)의 자제(子弟)로 원자(元子)의 시직(侍直)을 삼았다가, 동왕 18년에 세자 익위사를 둠에 따라 이에 예속되었다.    바로가기

주7

조선 시대에, 세자시강원ㆍ왕태자시강원ㆍ황태자시강원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8

궁전의 뜰.    우리말샘

주9

옳고 그름이나 선하고 악함을 판단하여 결정함.    우리말샘

주10

조선 시대에, 참하(參下)에서 육품으로 승급하던 일.    우리말샘

주11

지극히 가까운 거리.    우리말샘

주12

임금이나 어떤 모임의 우두머리를 모시어 호위함.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집필자
임혜련(충남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