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간군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만재도리에 있는 군도.
지명/자연지명
소재지
전남 신안군 흑산면 만재도리 일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만재도리에 있는 군도이다. 만재도를 중심으로 주변의 여러 섬들을 묶어서 부르는 용어이다. 만재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무인도서이며, 주민의 대부분이 어업에 종사한다. 목포에서 흑산도-가거도를 거쳐 운항되는 여객선이 유일한 교통편이었으나, 2021년 만재도항이 새롭게 완공되면서 목포-만재도간 직항노선이 개통되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만재도리에 있는 군도.
내용

주도(主島)인 만재도(晩才島)를 비롯하여 국도(菊島) · 삼태도(三苔島) · 녹도(鹿島) · 흑도(黑島) · 외마도(外馬島) · 내마도(內馬島) · 백도(白島) · 제도(濟島) · 간도(間島) 등의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흑산도와 함께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서해의 낙도군(落島群)인데 만재도를 제외하면 거의가 무인도이다.

진도에서 서남쪽으로 38㎞ 거리에 있으며, 북쪽으로 약 50㎞ 해상에는 대흑산도(大黑山島)가, 남서쪽으로 약 30㎞ 해상에는 가거도(可居島)가 있다. 이곳은 서해상의 주1 작업시 각종 어선의 피난처가 되고 있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중심 도서인 만재도는 면적이 0.59㎢이다. 서쪽에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산지가 분포하며, 섬의 중앙부에서 동쪽으로는 낮은 주2이 뻗어 T자형을 이룬다. T자형의 중간 부분에 마을이 입지하고 있다. 만재도항 남쪽의 소만입(小灣入)에는 짝지해수욕장으로 불리는 모래해안이 발달해 있으며, 이를 제외하면 깎아 세운 듯한 주3로 되어 있다. 주변에 있는 무인도는 섬의 규모가 작고,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진 바위섬의 형태이다. 최고 지점은 섬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기후는 서해 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체로 온화한 해양성 기후의 특색을 나타낸다. 1월 평균기온은 3℃, 8월 평균기온은 26℃, 연강수량은 1,112㎜이다. 서해안을 남하하는 주6주7와 황해 중앙부를 북상하는 주8가 교차하는 곳이어서 안개가 끼는 날이 많다.

현황

만재도에는 2022년 기준으로 44세대에 71명(남자 36명, 여자 3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취락은 마구산의 남동사면 주9에 집중해 있다. 만재도에는 논은 없고 주10로 구성된다. 주민의 대부분은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만재도항은 주11 시설이 미약하여 여객선이 입항하지 못하고 인근 바다에서 주12으로 옮겨타야 했으나, 2019년 어촌뉴딜300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2021년 접안시설과 경사식 선착장 등이 완공되었다. 만재도항의 완공과 더불어 목포에서 만재도를 연결하는 직항노선이 개통되었다.

흑산초등학교 만재분교장은 2005년 9월에 폐교되었다.

근해는 대륙붕으로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여 황금 주14을 이룬다. 조기 · 갈치 · 고등어 · 홍어 · 새우 · 뱅어 등의 어획이 많고, 자연산 · 미역 · 등의 생산도 활발한 편이다. 낚시인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은 섬으로 낚시배 운항과 민박도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지명요람』(내무부, 1983)
『도서지』(내무부, 1985)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신안통계연보』(신안군, 2022)
주석
주1

고기나 수산물 따위를 잡거나 거두어들이는 일. 우리말샘

주2

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 우리말샘

주3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4

바위가 많은 섬. 또는 바위로 이루어진 섬. 우리말샘

주5

남쪽으로 내려가다. 우리말샘

주6

하천, 호수, 지하수 따위의 육수(陸水)의 영향을 받고 있는 바닷물. 우리말샘

주7

물이 차가운 구역. 우리말샘

주8

제주도 서부 해역을 지나 황해 남부로 북상하는 구로시오 및 쓰시마 난류의 지류. 우리말샘

주9

산의 아래쪽에 완만한 경사가 나타나는 부분. 우리말샘

주10

숲과 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배를 안벽이나 육지에 댐. 우리말샘

주12

큰 배에 딸린 작은 배. 우리말샘

주13

배가 와서 닿는 곳. 우리말샘

주14

수산 자원이 풍부하고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여 물고기가 많이 잡히는 수역.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