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명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성균관 학유, 삼례도 찰방을 지낸 문신.
이칭
현승(顯承)
창사(昌舍)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64년(현종 5)
사망 연도
1722년(경종 2)
본관
밀양(密陽)
출생지
경상남도 창녕
주요 저서
창사집(昌舍集)|비희록(悲喜錄)
주요 관직
삼례도 찰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손명래는 조선 후기 성균관 학유를 거쳐 삼례도 찰방을 역임한 문신이다. 시와 문장에 뛰어났는데, 특히 대책문은 과거를 보려는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창설재 권두경, 훈수 정만양, 청천 신유한 등과 도의와 문장으로 사귀었다. 저서로 『창사집(昌舍集)』과 『비희록(悲喜錄)』이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성균관 학유, 삼례도 찰방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현승(顯承), 호는 창사(昌舍)이다. 1664년(현종 5)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났다. 친할아버지는 화왕산 아래에 은거하였던 손숭조(孫崇祖), 친아버지는 손건(孫健), 친어머니 아산장씨(牙山蔣氏)는 장엽(蔣曄)의 딸이다. 진주에 사는 종손인 손수업(孫守業)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양어머니 진주정씨(晉州鄭氏)는 정희설(鄭希卨)의 딸이다. 부인 남원양씨(南原梁氏)는 통덕랑 양영세(梁永世)의 딸이다. 처가가 있는 진주에서 살았다. 1722년(경종 2)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24세인 1687년(숙종 13) 복시(覆試)에 장원을 하였으나 양어머니와 친어머니의 상을 연이어 당하자 과거를 포기하고 7년간 정성을 다하여 성묘(省墓)하였다. 이에 사람들이 그의 효성을 칭송하였다.

그 후 당숙인 검암(儉庵) 손전(孫佺)의 권유로 다시 과거에 응시하여 1693년(숙종 19) 생원시와 진사시에 모두 입격하였다. 1707년(숙종 33) 대책(對策)에서 장원을 하였다. 당시 그가 쓴 대책문은 선비들에게 부책(賦策)의 모범으로 여겨졌다. 1710년(숙종 36) 향시에서 장원을 하고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성균관 학유(學諭)박사, 주부, 전적을 역임하고, 1714년(숙종 40) 삼례도 찰방(參禮道察訪)이 되었다.

당시 고을의 수령 중 세력 있는 자가 공적인 절차를 무시하고 직접 상부 기관에 관문(關文)을 전달하려고 하였는데, 손명래가 관문을 전달하지 않고 되돌려 보내면서 깊이 꾸짖었다. 그러자 그 사람이 몹시 화를 내면서 전라감사 이집(李㙫)에게 하소연하여 은밀히 해치려고 하였다. 하지만 관찰사는 오히려 수령을 꾸짖고 손명래의 강직함을 칭찬하였다.

찰방으로 재임하면서 역을 수리하고 역리(驛吏)가 예산을 도용하는 폐단을 바로잡아서 역민들이 그의 덕을 칭송하였다. 1717년(숙종 43)에 역리의 무함(誣陷)으로 체포된 적이 있었는데, 전 전라감사 이집의 변호로 풀려났고, 그난 후 고향으로 돌아갔다.

학문과 저술

품성이 영달하여 9세에 산사(山寺)에서 독서를 하며 「사고(寺皷)」라는 시를 지었는데, 모든 사람이 그의 시를 칭찬하였다. 그가 쓴 대책은 한나라의 동중서(董仲舒)를, 사부(詞賦)는 양나라의 유신(庾信)을, 시문은 남송의 육유(陸游)를 닮았으며, 서기(序記)는 전국시대의 장주(莊周)의 열어구(列禦寇)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찍이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 훈수(塤叟) 정만양(鄭萬陽), 청천(菁川) 신유한(申維翰) 등과 도의(道義)와 문장(文章)으로 사귀었다. 저술로는 『창사집(昌舍集)』 3권과 『비희록(悲喜錄)』 1책, 「일기(日記)」가 있다. 이외에도 대책(對策) 400여 편을 지었다.

상훈과 추모

사천현감(재임:1797~1798) 권사호(權思浩)가 행장(行狀)을 지었다. 1874년(고종 11)에는 이진상(李震相)이 행장을, 전라도관찰사 조성교(趙性敎)가 묘갈명(墓碣銘)을 지었다. 같은 해 5대손 손종만(孫鍾萬)과 손종갑(孫鍾甲)이 6권 3책의 『창사집』을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숙종실록(肅宗實錄)』
『진주읍지(晉州邑誌)』
『창사집(昌舍集)』
『한주문집(寒洲文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