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와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하진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하진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활자본. 1964년 6세손 병선(炳璇)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일해(李一海)의 서문이, 권말에 종증손 의진(義鎭)의 발문과 현손 영두(泳斗)의 유사가 있다.

권1·2에 시 400여수, 권3에 서(書) 3편, 잡저 10편, 권4에 찬(贊) 3편, 발(跋) 14편, 기문(記文)·상량문 각 1편, 축제문 13편, 묘명 1편, 행장 2편, 유사 12편, 부록으로 만시 123수, 제문 17편, 행록·묘표·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중 「폐거음이수(廢擧吟二首)」는 과거에 응하지 않게 된 마음가짐을 읊은 것으로, 병서(幷序)에서 회뢰(賄賂) 등의 폐단을 지적하였다. 이밖에 문란한 국가기강을 통탄한 시가 많다.

한편, 1,060자로 이루어진 「가정(家政)」은 작자의 깊은 사유와 생활철학을 펼친 교훈시이다. 이 시에 대하여 김황(金榥)은 백세에 남아 귀감이 될 것이라 평하기도 하였다. 이밖에 「쌍계잡영이십절(雙磎雜詠二十絶)」과 「의식(衣食)」도 걸작으로 꼽히고 있다.

서(書) 중 「여조병사(與趙兵使)」는 병사 조원석(趙元錫)에게 보낸 것으로, 군인들에게 봉급을 제대로 주지 않아 민가에서 곡식을 빼앗아가고 심지어 살인까지 하는 일이 있으니 시정하도록 당부한 내용이다.

잡저의 「사단시비설(四端是非說)」은 사단 중 시비에 관하여 논한 글이다. 시비의 마음은 지(智)로부터 나온다면서 『중용』과 『대학』의 ‘지’를 언급하였다.

「삼로동공론(三老董公論)」에서는 한고조(漢高祖)·장량(張良)·한신(韓信) 3인의 훌륭함을 말하면서 백세의 영걸로 꼽았다. 부록에는 거유 곽종석(郭鍾錫)이 지은 묘표, 김황이 지은 묘갈명이 수록되어 있다.

집필자
윤정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