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산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침산문집
침산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동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동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12년 손자 대현(岱鉉)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중철(李中轍)·이충호(李忠鎬)·이병연(李昺淵) 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54수, 서(書) 19편, 권2에 잡저 11편, 권3에 발(跋) 13편, 명(銘) 2편, 찬(贊) 15편, 상량문 1편, 축문·제문 4편, 가장 3편, 권4에 부록으로 고종일기(考終日記), 만사 5수, 제문 3편, 유사·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부시(附詩) 12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성현심학사도설(聖賢心學四圖說)」은 도통으로 이어진 심학의 요체를 밝힌 글이다. 저자의 학문적 온오(蘊奧)가 드러난 중요한 논문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체 내용이 4개의 도설(圖說)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인 「이제삼왕전심도(二帝三王傳心圖)」는 『서경』의 중훼지고(仲虺之誥) 덕일신(德日新)과 홍범(洪範) 오황극(五皇極)을, 제2도인 「오성전심도(五聖傳心圖)」는 『논어』의 일이관지(一以貫之)와 안연문인(顔淵問仁), 『대학』의 목목문왕(穆穆文王), 『중용』의 수장(首章)과 군자중용(君子中庸), 『맹자』의 호연장(浩然章) 등을 해설하였다.

제3도인 「양현심학도(兩賢心學圖)」는 정호(程顥)의 행장과 정이(程頤)의 「사물잠(四勿箴)」, 주희(朱熹)의 「존덕성재명(尊德性齋銘)」 등을, 제4도인 「심무체용변(心無體用辨)」은 이황(李滉)의 「심무체용변」을 내용으로 하여 심학이 전해 내려온 계통을 일목요연하게 해설하였다.

「성현도통연원록(聖賢道統淵源錄)」은 역대 성현들의 도통 전수에 관한 설을 각 경전과 문집류에서 뽑아 모아 체계화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학자로는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 등의 순으로 그 계통을 삼았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