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산성 출토 목간 ( )

하남 이성산성 출토 목간
하남 이성산성 출토 목간
고대사
유물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신라의 목간.
이칭
이칭
이성산성목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이성산성에서 출토된 신라의 목간.
개설

1990년 3차 발굴조사 중 저수지 유구에서 발견되었으며, 7~8세기 신라의 지방 목간문화와 문서행정을 알 수 있는 대표적 유물이다.

내용

이성산성 출토 목간은 다면형·원주형·장방판형·홈형 등 다양한 형태를 띄고 있으며, 이는 신라목간의 일반적 특징으로 이해되고 있다. '무진년(戊辰年)'명 목간은 3면에 걸쳐 26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앞면] 戊辰年正月十二日朋 南漢城道使…, [옆면] 須城道使村主前南漢城…, [뒷면] ■■浦 ■■■■■■…이다. 목간에서 남한성과 수성이라는 지명과 더불어 도사(道使)라는 지방관이 보여 지방행정과 관련해 이성산성이 지방통치의 거점으로서 기능하던 곳임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벼루의 출토는 문방구의 유통과 소비라는 측면에서 볼 때, 문서행정과 관련하여 국가권력이 율령국가의 지배도구였다는 일본의 사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하겠다. 32번 목간의 일부 글자를 '욕살'로 판독하여 고구려 지방 관직으로 이해하고 고구려의 목간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특징

출토되는 유물 가운데 벼루가 포함되어 있어, 목간의 묵서 및 그와 관련된 문화현상으로서 문자사용의 본격화를 보여준다.

현황

이성산성 저수지 유구에서 출토된 신라의 목간은 A지구 1차에서 15점, 2차에서 9점, C지구에서 14점 등 전체 38점이며, 이 가운데 묵서흔적이 확인되는 것은 13점이다.

의의와 평가

이성산성 출토목간은 공간적으로 왕경이 아니라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며, 시간적으로는 월성해자 출토목간과 안압지 출토목간의 중간에 위치하여 고대 한국 목간문화의 흐름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유물이다.

참고문헌

『신라 목간의 세계』(이경섭, 경인문화사, 2013)
『삼국시대 율령의 고고학적 연구』 (山本孝文, 서경문화사, 2006)
『한국의 고대목간』(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4)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권덕영, 학연문화사, 2002)
『이성산성 9차 발굴조사보고서』(한양대 박물관·하남시, 2002)
『한국고대금석문자료집』 Ⅱ(국사편찬위원회, 1995)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Ⅲ(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이성산성 2차발굴조사 중간보고서』(김병모·심광주, 경기도·한양대학교 박물관, 1988)
「하남 이성산성 목간 개황」(이용현,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2006)
「통일신라 벼루의 분류와 사용층에 대한 시론」(홍보식, 『석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2006)
「이성산성 출토 목간의 검토」(이도학, 『한국상고사학보』 12, 1993)
「이성산성 출토의 목간 연대 문제」(김창호, 『한국상고사학보』 10, 1992)
「이성산성 출토의 목간과 도사」(주보돈, 『경북사학』 14, 1991)
「新羅と百濟の木簡」(이성시, 『木簡が語る日本史』 上, 吉川弘文館, 199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