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촌주 ()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 지방유력자에게 수여한 말단 행정관직.
이칭
이칭
촌주
정의
신라 중고기 지방유력자에게 수여한 말단 행정관직.
내용

외촌주는 일반 문헌기록에서 보이지 않고, 금석문인 「창녕 진흥왕 순수비」(또는 「창녕 진흥왕 척경비」)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창녕 진흥왕 순수비」의 건립성격을 고려할 때, 외촌주는 국가의 공식적인 행정 혹은 지방행정의 구성원으로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비문에 "…군주·당주·도사·외촌주(軍主幢主道使外村主) …" 가 나열되어 있어 일정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외촌주라는 명칭의 근원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는데, 외(外)가 경(京)에 대응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왕경(王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밖에 위치한 지역의 촌주들을 지칭하는 표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촌주 역시 촌주라는 직역의 하나이므로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당주, 라두, 도사)을 도와 지방행정에 참여하고, 역역징발이나 군사활동에 동원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변천과 현황

촌주는 이미 「냉수리비」(501)에서 보이고 있고, 이후의 「남산신성비」(591)에 "郡上村主·郡中村主", 「청주연지사종명」(833)에 '鄕(卿)村主', 「청주규흥사종명」(856)에 '上村主·第二村主·第三村主' 등이 살펴진다는 점에서 지방행정에 일정한 역할을 하면서 그 직위 자체가 서열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잡지(雜志) 옥사(屋舍)에 “지방의 진촌주는 5품과 같으며, 차촌주는 4품과 같다(外眞村主與五品同 次村主與四品同)”는 기록이 이를 증명해 준다.

의의와 평가

외촌주가 촌주의 한 유형이고, 진흥왕 순수에 참가한 관료들과 나란히 기재되었다는 점에서 국가행정의 일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금석문과 신라사』(주보돈, 지식산업사, 2002)
『한국고대금석문종합색인』(권덕영, 학연문화사, 2002)
『통일신라토지제도연구』(이희관, 일조각, 1999)
『진흥왕순수비연구』(노용필, 일조각, 1996)
『신라촌락사회사연구』(이인철, 일지사, 1996)
『한국고대금석문자료집』Ⅱ(국사편찬위원회, 1995)
『신라정치제도사연구』(이인철, 일지사, 1993)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김기흥, 역사비평사, 1993)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Ⅱ(한국고대사회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창녕 진흥왕순수비의 조사와 판독」(한국고대사연구회, 『한국고대사연구회 회보』 20, 1991)
「신라 진흥왕 대등의 분화와 그 정치적 배경」(노용필, 『역사학보』 127, 1990)
「창녕 진흥왕순수비 건립의 정치적 배경과 그 목적」(노용필, 『한국사연구』 70, 1990)
『한국금석전문』 고대편(허흥식, 아세아문화사, 1984)
『한국사강좌-고대편』 Ⅰ(이기백·이기동, 일조각, 1982)
「신라의 촌과 촌주」(이우태, 『한국사론』 7, 1981)
집필자
한준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