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원망 묘지 ( )

목차
고대사
유물
고구려 유민 고원망의 묘지.
목차
정의
고구려 유민 고원망의 묘지.
개설

고원망묘지의 발굴 경위와 현 소장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묘지는 사위인 해동(海東) 서찰(徐察)이 작성하였다. 묘지에는 고원망의 가계와 이력에 대해서 나온다. 특히 발해인 출자 의식과 고구려 유민 2~3세대로 아버지 고흠덕(高欽德)과 함께 하북과 요서 지역에서 군사 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내용

고원망은 당나라에서 697년에 태어났고, 740년에 44세로 사망하였다. 관직은 정번부과의(净蕃府果毅) 겸 보새군부사(保塞軍副使), 평주 노룡군유주 청화군 이부절충도위(平州廬龍軍幽州淸化軍二府折衝都尉) 겸 안동진부사(安東鎭副使), 겹욕부절충(郟鄏府折衝), 좌효위낭장(左驍衛郎將), 안동도호부 부도호(安東大都護府 副都護) 겸 송막사(松漠使) 등을 역임했다.

묘지에 따르면 고원망의 선조는 중국 은나라 사람인 비간(比干)의 아들로, 요동(遼東)으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비간을 선조로 내세운 것은 부회(附會)이다. 그리고 가계에 대해 요동에 살다가 혹은 하북(河北) 지역으로 옮겼고, 발해 고씨(渤海高氏)와 종맹(宗盟)이며, 혹은 막남(漠南)에 거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발해 고씨는 중국 고대의 군망(郡望)을 의미한다기보다 고구려의 옛 땅을 차지한 발해국 출자 의식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고구려 유민의 상당수는 막남 지역에 이주되어 군사활동에 종사하였다. 대표적인 예가 고선지(高仙芝) 가계이다. 이러한 점을 볼 때 고원망 가계는 당나라에서 살고 있는 현실 때문에 중국 계통으로 출자를 부회하면서도, 고구려 계통이라는 이중적인 출자 의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원망의 가계는 고구려 말기에 당으로 이주했다. 고원망의 아버지 고흠덕의 묘지에 따르면, 고원망의 고조인 고원(高瑗)부터 고구려의 건안주도독(建安州都督)을 대대로 세습하였다. 고흠덕의 묘지에 고원망의 조부인 고천(高千) 만이 당의 관직을 가지고 있는 것과 고흠덕이 부친의 공으로 관직을 받은 것으로 볼 때, 고원망 일가가 당으로 이주한 시기는 고천 때일 가능성이 높다.

이 묘지명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도이(島夷)와 돌궐 및 거란 도독 △△于에 대한 군사활동에 참여한 내용이다. 도이는 발해를 가리키며, 거란 도독 △△于는 730년대 초 발해와 연대하여 당나라와 전쟁을 치뤘던 가돌우(可突于)이다. 발해는 732년 당의 등주(登州)를 공격하였고, 733년에는 돌궐 및 거란과 마도산(馬都山) 등지에서 당군과 전투를 치뤘다. 이 전쟁에서 고원망과 안동도호부 소속의 고구려유민들은 발해와 돌궐, 거란을 대상으로 군사활동을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원망은 사망 당시 안동도호부 부도호 겸 송막사로 발해, 돌궐, 거란 등을 대비하는 군사 최고 지휘관의 한 명이었으며, 당시 가장 최전선이었던 연군(燕郡)의 공사(公舍)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참고문헌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자치통감(資治通鑑)』
『문원영화(文苑英華)』
『전당문유보(全唐文補遺) 8』 (吳鋼 主編, 三秦出版社, 2005)
『중국 소재 한국 고대 금석문』(곽승훈‧권덕영‧권은주‧박찬흥‧변인석‧신종원‧양은경‧이석현 역주,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고구려유민 고흠덕, 고원망 부자 묘지명 검토」(권은주, 『대구사학』 116, 2014)
「在唐高句麗遺民遺物, 遺跡的現狀及其分布」(拜根興, 『中國曆史地理論叢』 24-1, 2009)
집필자
권은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