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은 인류 생활에 유용한 광물자원을 개발하는 사업장이다. 석탄을 개발하는 곳을 탄광, 석유나 천연가스를 개발하는 곳을 유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광업은 삼한시대에서부터 금·은 광업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제1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으로 체계적인 광산개발이 시작되어 광업의 혁신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1987년 석탄 합리화 사업 이후 국내 광산물 생산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광산이 들어서면 광산촌이 형성되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한다. 경제개발에 필수 불가결한 것이지만, 광산폐기물의 처리나 자연경관의 손상 등 부정적인 문제도 발생시킨다.
광산은 산출되는 광석의 종류, 개발 대상이 되는 광상(鑛床:유용한 원소나 광물이 지각 내에서 특히 농집된 부분)의 형태, 광상의 형성된 원인, 채굴방식, 광물자원의 판매 양식 등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일반 분류방법 : 가장 일반적인 분류방법은 산출되는 광석의 종류에 따른 분류로서 크게 금속광산과 비금속광산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금속광종(金屬鑛種)으로는 금 · 은 · 동 · 연 · 아연 · 철 · 텅스텐 · 몰리브덴 · 주석 · 창연 등이 있으며, 비금속광종(非金屬鑛種)으로는 석탄 · 토상흑연 · 인상흑연 · 납석 · 활석 · 장석 · 고령토 · 석회석 · 돌로마이트 · 사문석 · 규사 · 규조토 · 석면 · 형석 · 운모 등이 있다. 그 밖에 석탄, 석유와 천연가스를 포함한 화석연료와 우라늄 등의 방사성광물을 에너지자원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비금속광산과는 달리 금속광산에서는 단일 광종만을 채굴하는 경우보다는 금광산에서 은을 함께 채광하거나 연광산에서 아연 · 동을 함께 채광하는 등, 같은 광산 내에서 여러 가지 광종을 함께 채광하는 경우가 많다.
(2) 대상의 형태에 따른 분류 : 개발대상이 되는 광상이 자리잡고 있는 형태에 따라서 맥상광상(脈狀鑛床) · 층상광상(層狀鑛床) · 괴상광상(塊狀鑛床) · 산점상광상(散點狀鑛床)으로 분류하는데, 이에 따라 채광방식도 달라진다.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광산 중 대부분의 금속광상은 맥상광상을 이루고 있으며, 스카른광상이나 비금속광상은 층상 또는 괴상 광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3) 채굴방식에 따른 분류 : 자원의 채굴방식의 차이에 따라서는 지표면에서만 채굴이 이루어지는 노천채굴광산(露天採掘鑛山)과 갱내굴진을 통하여 채굴이 이루어지는 갱내채굴광산(坑內採掘鑛山)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석회암광상과 사광상(砂鑛床:쇄설물의 기계적 퇴적으로 광물자원이 농집된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광산들이 갱내채굴방식을 취하고 있다.
(4) 판매방식에 따른 분류 : 광물자원을 채광한 뒤 판매하는 양식에 따라서는 원광석(原鑛石) 혹은 정광(精鑛:원광석을 선광만 하여 품위를 높인 것) 상태로 판매하는 매광광산(賣鑛鑛山)과 광산 자체 내에서 선광과 제련을 하여 금속지금(金屬地金)까지 만들어 파는 광산의 두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대규모 광산이 적은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광산이 매광광산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산업경제의 필수적인 원료의 공급원으로서 광산은 일반 생산공장과는 달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채광대상으로 하는 광물자원이 지하에 무한정 매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산에 한계가 있으며 재생산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개발 도중에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광체를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개발의 기대 효과가 크다.
둘째, 투자의 회임기간(懷妊期間)이 길고 장기간에 걸쳐 가행(稼行:광산 운영의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폐광(閉鑛) 뒤의 시설물을 재활용하기가 어려우므로 자본의 위험부담률이 크다. 셋째, 원자재 생산의 1차산업이므로 광물원자재를 근간으로 하는 2차산업의 동향에 따라 자원시세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넷째, 지하의 협소한 공간에서 하는 발파작업 등으로 먼지와 가스 때문에 규폐(硅肺:진폐의 하나로 폐에 규산이 들러붙는 것) · 진폐(塵肺:폐에 규산이나 석면 등의 먼지나 가루가 쌓여 폐 조직 내에 섬유증식성 변화를 일으켜 심폐기능이 저하되는 질환) 등의 독특한 직업병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노동강도가 다른 산업에 비하여 높다.
다섯째, 암반붕괴(岩盤崩壞) · 출수(出水) · 추락(墜落) · 가스폭발 등의 특수한 산업재해율이 높다. 여섯째, 일반적으로 광산의 개발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산간벽지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문화생활을 누리기가 어렵게 된다.
일곱째, 입지조건을 고려하여 공장을 세울 수 있는 다른 산업들과는 달리, 광산은 광물자원이 있는 곳에서 개발해야 하므로 오지(奧地)에 광산의 개발이 시작될 경우에는 채광된 광물자원을 운송하기 위하여 도로개설의 부수적 투자가 요구된다. 또한, 분묘나 녹지대 등 개발이 용이하지 않은 곳일 경우에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덟째, 생산단가와 시세를 고려하여 이익이 따르는 광종을 개발하는 광산일 경우 본격적인 채광단계에 들어서게 되면 다른 산업들에 비하여 월등하게 짧은 시간 내에 투자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이 시기에는 적은 투자로 대단히 높은 수익을 얻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홉째, 현재 급격히 대두되고 있는 환경보호 측면에서 금속광상은 유해한 중금속 오염원이 될 수 있으며, 폐광된 후에도 지하갱도가 붕괴되어 지반침하와 폐석으로 하천 오염 등의 우려가 있어 장기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하다.
광산의 작업은 우선 광체를 발견하는 일부터 시작되어, 탐광 · 기본설비 · 굴진(掘進:굴 모양으로 파 들어 가는 것) 등의 예비기, 채광 및 선광을 통한 전성기를 거쳐, 자원의 채진(採盡:다 캐냄)으로 소멸기에 이를 때까지 일련의 과정을 겪게 된다.
대부분의 광산은 면밀한 지질조사, 물리 · 화학적 탐사, 시추 및 탐광갱도 등 사전 탐광조사를 통해 사업성을 전망하게 되므로, 탐광에 필요한 경비가 많이 지출되고 수입은 거의 없는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개발에 착수하여 생산이 가능할 때까지 3∼4년이 소요되나, 그보다 훨씬 길 경우도 있으므로 광산개발 초기에는 상당히 많은 자금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광산개발은 개인 재력으로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국가에서 경제적인 지원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금속 및 비금속광상의 탐광조사와 굴진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단체로서는 대한광업진흥공사와 대한석탄공사가 있으며, 석유 및 천연가스의 탐광에 대하여는 한국석유개발공사에서 자금을 지원한다.
이들 단체가 지원하는 자금은 뒤에 광산의 전성기를 맞았을 때 돌려받게 된다. 기본 설비와 굴진의 단계에서도 수익은 거의 기대할 수 없으며, 광산개발의 전성기를 맞아야 비로소 갱 안팎의 모든 시설들이 정비되고 많은 수익을 올리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 들어서서 개발에 소요된 모든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고, 그 뒤 폐광에 대비한 자금도 축적하게 된다.
광물자원의 매장량이 무한하지 않으며 개발이 계속됨에 따라 품질이 저하되는 한편, 갱도의 유지연장이나 개발심도가 깊어져서 생산량의 감소,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광산의 전성기는 쇠퇴하게 되어 폐광을 앞두게 된다. 광산의 일생에서 전성기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술 · 경영면으로 면밀한 계획수립 및 운영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번영기에는 항상 채광과 병행하여 새로운 광체에 대한 탐광조사가 필수로 병행되어야 하며 다른 곳의 새로운 광산을 개발하여 옮기지 않으면 안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를 막고 번영기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광산개발의 중요한 요인이다.
광산개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채굴 · 운반 · 선광 · 제련 등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탐광조사를 통하여 매장량이 확보되면, 어떻게 채취율을 높여 값싸고 안전하게 캘 수 있느냐 하는 채굴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채굴의 형식은 광상의 형태에 따라 다르나, 우리나라는 대개 갱내 채굴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운영의 합리화를 위해서는 막장(幕場:갱 내에서 채광작업이 직접 이루어지는 장소)을 집약하여 1개 작업장의 채광량을 늘리면서 가능한 유지갱도의 연장을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더불어 채굴의 기계화도 중요하다.
고대사회의 채굴방식은 문헌에 기록된 것이 없으나 『목민심서』에 따르면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채굴방법은 암석을 가열한 뒤 급하게 냉각시켜 균열을 만든 뒤에 굴착하는 화흉법(火洶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에는 화흉법을 쓰는 경우는 없고 착암(鑿岩:바위를 뚫는 것) 후 화약 · 전기 등으로 발파하여 채굴을 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착암하기 위한 굴착용으로 새로운 기계와 기술들이 많이 도입되어 있는데, 광산개발의 기계화는 생산량의 증가뿐 아니라 보안을 위해서도 극히 필요한 일이다.
광산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채굴된 광석과 폐석의 운반, 재료 · 인력의 수송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중에서 광석운반은 막장운반 · 수평갱도운반 · 수갱(竪坑:수직 갱도) 및 사갱(斜坑:경사진 갱도) 운반으로 나눌 수 있다.
막장운반은 중력을 이용한 슈트(chute:광석 · 석탄 등을 경사면에 따라 낙하시키는 설비)운반과 광차(鑛車)에 의한 운반 및 컨베이어운반 등을 들 수 있고, 수평갱도운반에서는 주로 광차나 광산용 전차, 벨트컨베이어가 사용된다.
수갱 · 사갱의 경우에는 권양기와 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한다. 갱 내에서 채광된 것들이 모두 광물자원의 가치를 지닌 것은 아니고, 맥석(脈石:경제 가치가 없는 광물의 총칭)이나 모암(母岩:광맥을 품고 있는 바위)같이 불필요한 것들이 광석과 함께 섞여 있게 된다.
이들 불필요한 부분들을 제거하여 광석의 품위를 높이는 한편, 유용광물을 종류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선광이며, 선광된 정광에서 필요한 원소나 광물을 뽑아내는 것이 제련이다.
선광에는 수선법(手選法:손으로 고르는 법) · 사별법(篩別法:체로 쳐서 광물을 분리하는 방법) · 풍선법(風扇法:바람을 일으켜 골라 내는 방법) · 비중법(比重法:광물의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골라 내는 법) · 부유법(浮遊法:기포에 광물입자를 붙여 떠오르게 하는 방법) · 전기법 · 혼홍법(混汞法:주로 금 · 은을 분리해내기 위하여 수은 아말감을 만드는 방법) 등이 있다.
제련에는 청화법(靑化法:주로 금 · 은을 분리해 내는 것으로 청화물 용액으로 침몰해 내는 방법) · 혼홍법 · 침전법 · 증류법 · 전기분해법 등이 있다. 어떠한 종류의 선광 · 제련법을 취해야 할 것인지는 산출되는 광종과 광물조직에 따라 결정해야 하며, 이에 따라 생산량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된다.
채굴 · 운반 · 선광 · 제련 이외에도 갱 내에서의 통기 · 배수 · 조명관계는 작업능률이나 보안 측면에서 간접적으로 생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효율적 운영도 광산개발의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나라에서 광산개발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낙랑(樂浪)의 유적에서 그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다. 낙랑고분에서 금상감동관(金象篏銅管) · 철촉(鐵簇:쇠로 만든 화살촉) · 동인(銅印:구리로 만든 도장) 기타 금 · 은 장신구 등의 출토품이 나왔다는 사실과, 부여(扶餘)가 산금국(産金國)이었으며, 또 진한(辰韓)에서는 금 · 은의 산출뿐 아니라 철의 수출 및 시장거래가 성행하였다는 사실로 보아 당시에 금 · 은 · 철 · 동을 사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광업은 삼한시대에서부터 거의 2,000여 년에 걸쳐 발달해 왔으며, 특히 금 · 은 광업이 중심이 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에는 144년(일성왕 11)에 백성들이 금 · 은 · 주옥(珠玉)을 쓰는 것을 금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로 보아 신라 초기에 금 · 은의 사용이 상당히 일반화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본 사적에는 백제에 철광산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백제 초고왕 때에 곡나철산(谷那鐵山)에서 산출된 철을 일본에 수출한 것으로 되어 있다. 곡나철산은 철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고 홍천철산(洪川鐵山)이나 구룡철산 부근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금속의 원자재인 광물의 산지 혹은 채굴지에 대한 기록을 별로 볼 수 없지만, 당시 금속을 원료로 하는 생산기술로 보아 금속광업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황룡사(皇龍寺)의 범종과 같이 무게가 295톤(49만 7581근)에 달하는 큰 종을 주조할 능력이 있었던 신라 진흥왕 때에는 금속 생산량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삼국사기』에는 석탄의 산출지를 알려 주는 기록이 있는데, 609년(진평왕 31)에 모지악(毛只嶽)에서 땅이 탔으며, 657년(무열왕 4)에는 동토함산지(東吐含山地)가 탔다고 하였다. 『고려사』에는 1180년(명종 10)에 평양 주재 관리가 의연촌(衣淵村)에서 땅이 타고 매연이 끊이지 않는다고 보고하여 왔다는 기록이 있다.
동토함산지는 갈탄이 부존되어 있는 현재의 장기(長鬐) 부근일 것으로 생각되며, 의연촌은 평양 부근의 사동(寺洞)과 고방산(高坊山) 일대의 어느 지역일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시대의 금속광산에 관한 기록은 석탄광산에 비하여 더욱 희귀하여 신라 효소왕 때에 신촌인(新村人)이 1백푼 무게의 황금을 얻었다는 기록이 있는 정도이다.
『고려사』에 따르면 1029년(현종 20)에 문희현(聞喜縣), 즉 현재의 문경시에서 수정이 산출되었고, 1193년(명종 23)에는 포항시에서 마노(瑪瑙)를 헌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의 금 · 은 산출지에 대한 기록으로는 1276년(충렬왕 2)에 최석이라는 자가 홍주(洪州:지금의 충남 홍성군) · 직산(稷山) · 정선(旌善)에서 인부 1만 1446인을 거느리고 70일 동안에 금 7냥을 캤다는 것과, 1288년에 원나라가 이성(李成) 등을 보내어 은을 캐게 하였다는 정도이다.
고려시대의 금 · 은 생산이 부진했던 것은 당시 석금(石金)의 탐사 · 제련기술이 별로 발달하지 못하였던 때문으로 판단된다. 금 · 은과는 달리 철과 동은 고려시대에 생산이 활발하였으며, 특히 동의 경우에는 고려동(高麗銅)의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태조는 집권하자마자 군사력의 증가뿐 아니라 광산개발에도 주력하여, 황해도 서흥(瑞興)에 관인을 파견하여 철광채굴에 힘썼으며, 명나라에 대한 금 · 은의 세공(歲貢) 때문에 함경남도 단천에 군인 80인을 투입하여 채금을 시도한 바 있다.
태종은 경상북도 안동지방의 은갱(銀坑)에 광부 3천인을 보내고, 김해 · 청도에 군인을 보내어 채굴하게 한 일이 있으며, 1417년(태종 17)에는 강원도 전역에 군인과 관리를 보내어 채금하게 하였다. 또한 각 도의 도관찰사로 하여금 그 지방의 광산물 산지를 찾아가 금 · 은의 개발을 꾀하였다.
단천(함경남도 단천군) 은광산은 조선 중기에 들어와 폐쇄와 개발재개의 반복을 거듭하였던 광산으로 1503년(연산군 9)에는 단천 은광산에서 산출되는 연광(鉛鑛:납을 캐는 광산)에서 은을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로 인하여 단천을 비롯한 그 부근의 많은 광산들이 개발되었다고 한다.
1740년(영조 16)에는 좌의정이 강원도 회양(淮陽)에서 새로 은광이 발견되었다고 보고한 기록이 있고, 1818년(순조 18)에는 당시 함경남도 갑산(甲山)에서 나오는 동이 일본의 동에 비하여 손색이 없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는 우리나라에 동이 나오지 않는 것이 아니라 동제련법을 모르는 데에 동 부족의 원인이 있다고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록에 비추어 볼 때 조선 중기에 이미 발견되어 있던 동광산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1876년에 강화조약이 체결된 이후에는 개광정책(開鑛政策)이 표명되어, 1891년(고종 28)에 처음으로 일본인 마키(馬木健三)에게 10년간 기한부로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용장금동산(龍藏金銅山)의 채굴권이 허락되었다.
1896년에는 미국인에게 운산광산(雲山鑛山)의 특허권이 인정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하여 1897년에는 이익금의 25%를 조정에 납부하는 조건 아래 강원도 김화군에서 25년 동안 광산을 개발할 권리가 독일의 주한상사인 세창양행(世昌洋行)에 부여되었다.
1899년에는 평안남도 은산광산(殷山鑛山)의 채굴권이 영국인에게, 1901년에는 프랑스인에게 평안북도 창성광산(昌城鑛山)의 채굴권이 부여되었다. 또한, 1905년에는 황해도 수안광산(遂安鑛山)의 채굴권이 한성광업회사(漢城鑛業會社)에 부여되었다.
당시 외국인에게 광산채굴권이 허용되기 시작하면서 궁내부의 광산 감리(監理)였던 이용익(李容翊)은 지금까지의 농상공부 소속이던 국유광산들을 궁내부로 옮겨 내장원(內藏院) 소속의 황실광산(皇室鑛山)으로 개편하여 놓았는데, 이는 국가에 의한 광산개발을 전제로 하는 조처로서, 일제의 관리들이 마음대로 다룰 수 있던 농상공부의 국유광산 처분권을 박탈하여 내장원으로 옮김으로써 개발을 황실의 뜻대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궁내부로 이양하고도 계속 외국인에게 개발특허권을 줌으로써 개발보다는 세수입 증대에만 힘쓰게 되었다. 그 뒤 1905년에 한일협상이 조인되고, 1906년에는 「한국광업법」이 공포되자 이로 인하여 궁내부 소속이었던 51개 광산 중 26개 광산만이 황실 직영형태로 남게 되고 25개 광산은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자유경쟁에 의한 개발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광업법이 실시된 이후 1918년까지 한국인이 취득한 광권은 총 438건 중 70건에 불과하고 외국인에게 허가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일본인의 광권만도 312건에 달하였다. 따라서, 당시의 광산개발은 한국인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전개되었다기보다는, 외국인에 의한 개발만을 기대하는 상태에 머무르게 되었다.
그러나 개항기의 광산개발이 외국인에 의존한 경향이 크기는 하였지만 외국과의 수교로 인하여 개광정책을 표방함으로써 광산개발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으며 많은 광물자원의 산출지가 알려지게 되었다. 일제는 우리나라를 강점함과 더불어 금 · 은 수탈을 위하여 금광개발에 주력하였으나, 제1차세계대전이 끝나자 은 · 철 · 석탄 외에는 광산개발이 침체되어 1931년 만주사변이 일어나기까지 광산개발은 일진일퇴를 거듭해왔다.
1937년에서 1941년에 걸쳐서는 「조선중요광물증산령(朝鮮重要鑛物增産令)」 · 「조선산금령(朝鮮産金令)」 · 「금산정비령(金産整備令)」 등 광산개발에 관련된 법령들이 공포됨으로써 광산의 개발이 전략물자 확보정책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었다.
특히, 1938년의 「조선중요광물증산령」은 금의 증산 이외에 은 · 동 · 아연 · 망간 · 텅스텐 · 몰리브덴 · 흑연 · 석탄 · 형석 · 중정석 등 25종의 광물을 대상으로 하여 유휴광구(遊休鑛區)에 대한 강제 개발명령을 골자로 한 것이었다.
광복과 더불어 모든 광산개발은 일시 중지되었으나, 이 시기에는 미국 지질학자들에 의하여 남한 전역에 걸친 광산실태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뒷날 우리나라 광산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1948년의 정부 수립 이후 광산개발은 새로운 궤도에 오르게 되었는데, 1950년 5월 4일의 ‘대한석탄공사법’ 공포, 1951년 12월 23일의 새로운 ‘광업법’ 제정 · 공포, 1952년 3월의 한미중석협정(韓美重石協定) 체결, 1954년 6월 국제연합한국재건단(國際聯合韓國再建團, UNKRA)과의 탄광개발협정 등 광산개발을 증진시키는 여러 가지 계기들이 마련되어 중석과 석탄 등의 생산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의 탄광개발협정은 장성탄광을 비롯하여 강원탄광(江原炭鑛) · 옥동탄광(玉洞炭鑛) 등에 대한 개발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충주철산(忠州鐵山) · 동양활석(東洋滑石)의 생산을 정상궤도에 올려 놓았다. 그 뒤 우리나라의 광산개발은 1962년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시작으로 새로운 국면에 들어서게 되었다.
이 계획이 시작되면서 우리나라의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태백산지역을 면밀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대한지질학회로 하여금 태백산지구 지하자원조사단을 구성하게 하였으며, 이로써 우리나라의 석탄과 석회암광산개발에 혁신을 일으켰다.
1961년에는 ‘석탄개발임시조치법’에 의한 석탄의 능률적 · 합리적 생산체제가 확립되어, 군소민영광구(群小民營鑛區)를 통합하여 10여 개의 대단위 탄좌를 설정하였다. 이로써, 삼척 · 동원(東原) · 우전(佑田) · 나전(羅田) · 회동(檜洞) · 강릉 · 성주(聖住) · 호남(湖南) · 문경 · 평창(平昌) 등의 탄좌들은 우리나라 굴지의 광산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1962년부터 정부예산에 의한 코멥(KOMEP) 조성사업으로 이루어진 금속광산 조사를 근간으로 하여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기간 동안 동광이 약 2배, 연광이 약 5배, 아연광이 약 27배의 증산을 보이는 등 광물자원의 생산실적을 올리게 되었다.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인 광산개발이 시작되어 광업의 혁신적인 발전을 보게 되었으나,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금속에 대한 국제시세의 하락, 인건비의 상승, 환경 부담금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금 · 은 광산을 제외한 대개의 금속광산들이 휴광 혹은 폐광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대규모로 운영되는 금속광산들과 석탄을 비롯한 다수의 비금속광산들은 아직도 개발에 활기를 띠고 있으며, 대한광업진흥공사 · 대한석탄공사 등에 의한 국가적 보조와 동력자원연구소 및 각 대학교 지질학과내 연구실의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광산의 개발이나 개발중인 광산의 새로운 광체의 탐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원시사회에서 시작된 광물자원의 이용은 오늘날에 이르러서 사회 · 경제 · 문화에 다양하게 관계되고 있으며, 광산은 우리 생활에 직접 · 간접으로 관계를 맺어왔다. 상고시대는 광물자원의 이용이 단순하여 진한에서 철을 무역을 위한 화폐로 이용한 것과 몇 가지 공예품이 제작되었던 것 외에는 주로 세형동검 · 청동검 · 철촉 등 무기의 제작에 사용되었다.
고대사회에 와서는 광물의 사용이 좀더 다양화되어, 궁중의 금제 · 금술잔 · 은합 · 은바리 등의 공예품과 중국의 세공용(歲貢用)으로 금 · 은을 사용한 것 외에도 무기 · 화폐 · 농기구 · 종 등의 제조에도 사용되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7세기경 백제 무왕 때 당나라로 명광개(明光鎧:황칠로 만든 갑옷)를 수출하였고, 철갑과 조부(彫斧) 등이 제조되었으며, 8세기경 신라 경덕왕 때는 철유전(鐵鍮典:복식품 · 무기 · 불상 · 농기구 등을 제작하던 관아) 또는 축야방(築冶房)이라는 농기구를 비롯하여 황룡사(皇龍寺)의 범종, 분황사 약사동상 등의 주조에 광물이 이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활자 · 주조의 획기적인 기술이 발전되어 주자(鑄字:쇠붙이를 녹여 부어 만든 활자)로 인쇄가 시작되었고, 무기제조에서도 검차(劍車) · 포기(砲機) · 뇌등석포(雷騰石砲) 등 광물자원의 이용이 다양해졌다. 고려시대에 광물이 화폐로서 이용된 것은 996년(성종 15)에 철전(鐵錢:쇠를 녹여 만든 돈)이 주조되었고, 1101년(숙종 6)에는 은병(銀甁:은으로 만든 병)이 있었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고려청자의 원료로서 고령토 · 점토를 이용하기 위하여 내화광물(耐火鑛物:불에 타지 않는 광물)의 탐사 · 채굴 · 정제 수준이 상당히 발전하였다. 조선시대나 근대에 들어 와서도 광물자원의 사용은 크게 진전된 바 없으나, 산업기술이 현저하게 발달된 오늘날에 와서는 생활전반에 걸쳐서 광물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되어 광산 개발이 기초산업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동을 비롯한 여러 산유국들처럼 광물자원의 개발로 국가의 재력을 과시할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1979년에서 1981년까지 광물자원의 부가가치율을 살펴보면 61.2∼51.5%로서 전체 산업의 22.9∼19.2%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공업화 과정에서 광업이 다른 산업의 견인차 구실을 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과 경제성장에 직접적으로 기여해 왔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임금인상으로 인한 광업경영 여건의 악화와 열악한 환경에 따른 작업기피로 인한 근로자 확보난 등의 심각한 어려움으로 인해 국내 광산은 대부분 폐 · 휴광 상태에 직면해 있으며, 더욱이 1987년부터 석탄 합리화사업이 시행된 이후 국내 광산물 생산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른 광산물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등 다각적인 방법을 통해 국내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 또한 한국석유개발공사를 중심으로 한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사업이 활기를 띄어 국내 대륙붕에서 천연가스를 찾아냄으로써 산유국의 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광산의 개발은 이처럼 유익하고도 필수불가결한 일이기는 하지만, 한편으로 사회에 미치는 나쁜 영향도 없지 않다. 즉, 광산의 개발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광산폐기물의 처리문제나 자연경관의 손상문제 등 부정적인 문제가 있다.
광산이 들어서게 되면 광산이 개발되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는 광산촌이 형성되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이 광산촌은 광산의 개발이 시작되면 발생하였다가 폐광시기를 맞아 개발이 멈추면 소멸하는 일시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광산이 개발되어 왔으므로 비중이 큰 문화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광산촌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산간벽지에 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택 · 병원 · 학교 · 시장 · 영화관 등 나름대로의 문화시설을 갖추어야 하는데, 근래에 와서는 정부의 강력한 광산촌 정비사업 추진과 새마을운동에 의하여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이 밖에도 광부들의 자녀를 위한 장학제도와 의료시설의 확충으로 생활여건이 많이 좋아지고 있으나, 소규모 광산이거나 소멸기를 맞은 광산일 경우에는 생활여건이 몹시 나쁜 것이 단점이어서, 한때 번창하여 인구밀도가 높던 마을이 흔적없이 사라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