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산 ()

진안 마이산
진안 마이산
자연지리
지명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과 마령면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용출봉(湧出峰), 서다산(西多山)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명승(2003년 10월 31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이산로 240-34 (진안읍)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과 마령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마이산은 동경 127°25′00″, 북위 35°45′45″에 위치하며 노령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걸쳐 약 10∼20㎞의 서남방향으로 고원을 이루는 진안고원 상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서는 금강이 북류하고 섬진강이 남류하는데 진안부근의 양 하천의 분수령이 위치한다.

명칭 유래

마이산은 두 개의 큰 산봉우리로 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봉우리 두 개가 높이 솟아 있기 때문에 용출봉(湧出峰)이라 하였고 동쪽을 아버지, 서쪽을 어머니라 하였으며, 신라 시대에는 서다산(西多山)이라 불렀으나 조선 시대 태종이 남행(南幸)하여 그 모양이 말의 귀와 같다 하여 마이산이라 이름지었다 한다. 지금은 속칭으로 동쪽을 수마이산(681.1m), 서쪽을 암마이산(687.4m)이라고도 한다.

자연환경

남사면에는 지름 수㎝에서 수m에 이르는 풍화된 구멍인 타포니(taffoni)가 많이 나타나는데, 그 지름이 큰 까닭은 역암의 메트릭스(metrix: 자갈 사이의 충진물질)인 세립물질이 풍화되어 역이 빠져나감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현재에도 남북 사면의 미기후(微氣候)의 차이에 따라서 습한 북 사면에는 식생이 번성하나 남 사면은 건조하여 식생이 빈약하다.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계가 되어 강정골재(350m)에서 수계가 나누어진다.

형성 및 변천

지질은 진안읍 쪽의 마이산 주변은 선캄브리아기의 소백산변성암복합체에 속하는 화강암질편마암이며, 마이산에서 임실읍 주변까지는 중생대 백악기(白堊紀)말의 마이산역암(馬耳山礫岩)이다.

이러한 지질 분포나 지형으로 미루어 마이산역암의 퇴적환경은 이미 존재하였던 화강암질편마암이 백악기말 주변의 화강암류의 분출에 따라 융기된 뒤, 그 전면(全面)의 요지(凹地)에 쇄설물(碎屑物: 작은 부스러기)이 퇴적되어 역암지역이 된 것이다.

따라서 본래는 상대적으로 더 높았던 화강암질편마암지역이 침식에 약하여 높이 350m 내외의 진안고원이 되고, 상대적으로 낮았던 마이산역암지역이 침식에 강하여 더 높게 잔존하여 기복(起伏)의 역전(逆轉)이 나타났다. 특히 마이산의 두 산봉우리는 동서 방향으로 분포하여 진안읍 쪽의 북 사면과 마령면 쪽의 남 사면은 사면의 향(向)에 따라서 기후지형학적(氣候地形學的) 지형형성작용에 차이가 있다.

현황

이 산 일대의 자연경관과 사찰들을 중심으로 1979년 10월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깎아지른 듯한 수마이봉 기슭의 숲속에 은수사(銀水寺)라는 절이 있고 그 밑에 또 다른 명물인 탑사(塔舍)가 있다. 또한 2003년 10월에 산태극 · 수태극의 중심지로서 2003년 국가지정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약 100여 년 전 이갑용(李甲用)이 쌓아올린 80여 기의 돌탑인 마이산탑(전라북도 지방기념물, 1976년 지정)으로 이루어졌는데, 불규칙한 자연석을 모아 원추형 혹은 기둥 모양으로 쌓은 것이다. 그 남쪽에 있는 신라 시대의 고찰 금당사(金塘寺)에는 은행나무에 조각된 금당사목불좌상(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1973년 지정)과 14위의 관음보살상을 그린 9m 길이의 금당사괘불탱(보물, 1997년 지정), 금당사석탑(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1986년 지정)이 소장되어 있다.

이산묘(駬山廟)는 이성계(李成桂)가 등극 전에 임실의 성수산에서 100일 기도 후 내려와 마이산에 들어설 때 말을 매어놓았던 자리로, 단군성조와 태조 · 세종 · 고종의 위패를 모신 회덕전(懷德殿), 조선 시대 명신 · 거유를 모신 영모사(永慕祠), 한말의 지사(志士)와 의병장 33위를 모신 영광사(永光祠)로 이루어졌다.

그 외에 은수사에는 이태조가 심었다고 전하는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천연기념물, 1997년 지정)와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천연기념물, 1993년 지정) 등이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명승 지정 학술조사 보고서』(문화재청, 2002)
「마이산 타포니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연구」(이승수,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마이산일대(馬耳山一帶)에 나타나는 미지형(微地形)의 기후지형학적(氣候地形學的) 연구(硏究)」(성효현, 『녹우회보』14, 1982)
『朝鮮·日本列島地帶地質構造論考』(立岩巖, 東京大學出版會, 1976)
「韓國·全州東部の馬耳山にみられるタフオニ地形」(池田碩·강용석, 『奈良大學紀要』10, 1981)
진안군(http://www.jinan.jeonbuk.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