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산 ()

모악산
모악산
자연지리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과 김제시 금산면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금산(金山)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구이면과 김제시 금산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모악산은 동경 127°01′00″, 북위 35°45′30″에 위치하며 높이는 795.2m이다. 노령산맥의 서단부에 위치하며 호남평야와 전라북도 동부 산간 지대의 경계가 된다. 1971년 12월모악산을 중심으로 면적 42.44㎢가 모악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명칭 유래

『금산사지(金山寺誌)』를 보면 ‘엄뫼’라는 말이나 ‘큰뫼’라는 말은 아주 높은 산을 의미하는데, 한자가 들어오면서 ‘엄뫼’는 어머니산이라는 뜻으로 의역해서 ‘모악’이라 했고, ‘큰뫼’는 ‘큼’을 음역하고 ‘뫼’는 의역해서 ‘금산(金山)’이라고 적었다고 되어 있다.

구전에 의하면 모악산 꼭대기에서 아기를 안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을 닮은 큰 바위가 있어 모악산이라 했다고 한다.

자연환경

모악산에는 산금(山金)이 있고, 주변의 금산면 · 금구면을 흐르는 원평천(院坪川) · 두월천(斗月川)의 하상(河床)에는 사금(砂金)이 있다. 주능선은 북동∼남서 방향이나 지능선이 동과 서로 뻗어 있다. 동쪽 사면은 만경강의 집수역(集水域)으로 계곡의 물은 구이면의 전주저수지에 흘러들어 전주 서쪽을 흐르는 삼천(三川)이 된다.

서쪽 사면은 만경강과 동진강 사이의 원평천 집수역이 된다. 서쪽 사면에서 발원하는 북쪽 금구면의 두월천과 남쪽 원평천은 330년(비류왕 27)에 축조된 벽골제(碧骨堤)의 수원이 되었다.

모악산은 우리나라 남부의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맑은 날이 많고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식물분포학상으로 온대형에 속한다. 식생은 대체로 고도가 높은 곳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정상부에 아교목층의 철쭉꽃이 군락을 이루며 저지재는 소나무가, 계곡에는 층층나무와 느티나무 군락이 분포한다.

형성 및 변천

암석은 중생대 쥐라기의 편마상화강암(片麻狀花崗岩)으로, 쥐라기에 대보화강암(大寶花崗岩)의 석영반암(石英斑岩) · 석영 등의 관입을 받아 북동∼남서 방향의 함금석영맥(含金石英脈)이 많다.

현황

이 산은 저평한 호남평야에 우뚝 솟은 산이어서 예로부터 미륵신앙의 본거지가 되었다. 산의 이름도 ‘엄뫼’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를 한자로 표기하여 모악이 되었다. 서쪽 사면에 있는 금산사(金山寺)는 599년(법왕 1)에 창건된 것으로 신라 불교의 5교9산(五敎九山)의 하나이며, 여러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

금산사 미륵전(국보, 1962년 지정)은 겉보기에는 3층이나 실제로 통층(通層)으로 되어 있으며, 그 안의 미륵불상은 높이가 11.82m나 된다. 절 안에는 금산사 노주(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석련대(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 혜덕왕사탑비(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 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 금강계단(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 당간지주(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 금산사 대장전(보물, 1985년 지정) · 금산사 석등(보물, 1985년 지정) 등의 귀중한 문화재가 있다.

그러나 1968년 보물로 지정된 대적광전은 28칸의 웅장한 목조건물이었는데, 1986년 12월 화재로 소실되었고, 그 안에 있던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불상도 소진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처영(處英)이 금산사에서 승병 1,000인을 일으켜 왜병을 무찔렀던 장거(壯擧)도 있었다.

또한 옛 기록에는 모악산에 무려 80여 개소의 암자가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심원암(深源庵) · 청련암(靑蓮庵) · 용천암(龍天庵) · 부도전(浮屠殿) · 대원사(大院寺) · 귀신사(歸信寺) 등이 있고 미륵신앙의 기도처가 곳곳에 있다. 귀신사는 서쪽 사면의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것으로 676년(문무왕 16)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이 절에는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보물, 1985년 지정) · 석탑(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1974년 지정) · 부도(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1974년 지정) 등의 문화재가 있다.

미륵신앙이나 풍수지리설 등의 영향으로 여러 신흥종교의 집회소가 있다. 특히 금산면 청도리의 백운동은 모악산이 후천세계(後天世界)의 중심지라 믿어서, 1927년 이후 신도들이 집단 이주하였고 증산교(甑山敎)의 의식인 오대치성(五大致誠)으로 결속되어 종교취락을 이루었다.

1976년모악산도립공원 개발계획이 수립되어 숙박 시설과 토산품 가게의 집단화, 주변의 신흥 종교집단의 단속 · 철거 등이 이루어졌다. 봄철에는 금산사 입구의 벚꽃이 유명하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의 산지(山誌)』(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국관광자원총람(韓國觀光資源總覽)』(한국관광공사, 1985)
『산(山)』(조선일보사, 1983. 2)
「전북 모악산의 식생」(김병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신흥종교취락(新興宗敎聚落)의 발생(發生)과 변천(變遷)에 관(關)한 연구(硏究)」(김상식 외, 『지리학보고』3, 1984)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장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