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가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광주부윤, 개성유수,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정조(廷藻)
금대(錦帶), 정헌(貞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2년(영조 18)
사망 연도
1801년(순조 1)
본관
여주(驪州)
주요 저서
금대유고(錦帶遺稿)
주요 관직
형조판서|대사간|대사성
관련 사건
신유박해
내용 요약

이가환은 영조~정조 대에 성균관 대사성, 승문원 정자, 예조정랑, 사간원 대사간,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남인 채제공에 의해 발탁되고, 정조로부터 학자로서 인정을 받아 대사간·대사성까지 올랐다. 하지만 천주교 신자라는 공격을 받고 신유박해 때에 심문을 받다가 죽었다.

정의
조선 후기 광주부윤, 개성유수,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가계 및 인적 사항

이가환(李家煥)의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정조(廷藻), 호는 금대(錦帶) · 정헌(貞軒)이다. 5대조는 좌찬성을 지낸 이상의(李尙毅)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지평을 지낸 이지안(李志安),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판을 지낸 이하진(李夏鎭)이다. 할아버지는 이침(李沉), 아버지는 이용휴(李用休)이다. 어머니 진주류씨는 류헌장(柳憲章)의 딸이며, 부인 해주정씨는 정운유(鄭運維)의 딸이다. 할아버지 이침이 성호(星湖) 이익(李瀷)과 형제 사이이므로 이가환은 이익의 종손(從孫)이 된다. 양자 이재적(李載績)은 이맹휴의 손자이자, 이가환의 재종형제인 이구환(李九煥)의 아들이다. 이승훈(李承薰)은 생질이다.

주요 활동

남인 명문가였던 이가환의 집안은 종조할아버지 이잠(李潛)희빈장씨를 두둔하는 소를 올린 일로 1680년(숙종 6) 경신환국(庚申換局) 이후로 정권에서 소외되었다.

1771년(영조 47) 진사가 되고, 정조가 즉위한 1777년에 증광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78년(정조 2) 문신 제술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하면서 6품으로 승진하였다. 1780년(정조 4) 비인현감을 거쳐 이듬해에 예조정랑에 올랐다.

1781년에 『 춘관지(春官志)』의 편찬을 전담하였으며, 1785년(정조 9)에는 찬집(纂輯) 낭청(郎廳)으로서 『 대전통편(大典通編)』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편찬 사업에 참여한 공로로 승지에 기용되었다가 곧 정주목사(定州牧使)로 옮겨 갔다.

1788년에 채제공(蔡濟恭)이 우의정에 오르면서 수차례에 걸쳐 승지로 발탁되었고, 1790년에 광주부윤에 임명되었다. 1792년에 대사성에 임명되었으나 성균관 유생들과 정언 한상신(韓商新), 이명연(李明淵) 등의 반대로 사직하였다. 하지만 개성부 유수를 거쳐 이듬해인 1793년과 1794년에 두 차례에 걸쳐 대사성을 맡았다.

1795년에 공조판서로 발탁되었으나 노론 벽파(僻派) 관료들이 서학을 문제 삼아 저지하였다. 같은 해 7월에도 박장설(朴長卨)이 이가환을 서학의 중심 인물로 지목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주1 신부의 입국 사건에 연루되어서 충주목사로 나갔다. 1799년에 정조가 이가환의 할아버지와 아버지를 주2하려고 하자 좌의정 이병모(李秉模)가 반대하였다. 또 대사간 신헌조(申獻朝) 등이 사학(邪學)의 소굴에 이가환이 있다는 소를 올려 공격하였다.

1800년 6월 정조가 승하하고, 1801년(순조 1)에 천주교 탄압을 명분으로 대대적인 신유박해가 일어났다. 이해 2월 9일에 이가환은 서학 교주라는 죄목으로 사헌부에 검거되었다. 3월에 의금부에서 조사를 받다가 장형(杖刑)을 당하여 죽었다.

학문과 저술

천문학과 수학에 정통하였다. 이승훈의 처남인 정약용(丁若鏞) 외에 이벽(李蘗) · 권철신(權哲身)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는 『금대유고(錦帶遺稿)』, 『금대집(錦帶集)』, 『금대시문초(錦帶詩文鈔)』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원전

『경세유표(經世遺表)』
『성호전집(星湖全集)』
『승정원일기』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연암집(燕巖集)』
『영조실록』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정조실록』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홍재전서(弘齋全書)』

논문

박진아, 「18세기 조선, 금대 이가환 서학 수용의 인식론적 기반」(『동양고전연구』 75, 동양고전학회, 2019)
정만조, 「성호학의 가문적 배경」(『한국학논총』 37,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구만옥,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 정조의 천문책과 그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한국사상사학』 27, 한국사상사학회, 2006)
문중양, 「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 담론의 역사적 성격- 서호수와 이가환을 중심으로」(『동방학지』 121, 국학연구원, 2003)
이원순 외, 「조선후기 서구사상의 도입과 서학」 3(『한국사상논문선집』 132, 불함문화사, 2000)
주석
주1

중국 청나라의 신부(1752~1801). 베이징(北京) 주교(主敎) 구베아(Gouvéa)의 명령을 받고 서울로 들어와 선교하다가, 신유박해 때 의금부에 자수하여 사형당하였다.    우리말샘

주2

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추증하던 일. 종이품 벼슬아치의 부친, 조부, 증조부나 충신, 효자 및 학행(學行)이 높은 사람에게 내려 주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박수정(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