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사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전기 10도(道) ·12주(州) 절도사체제 하의 지방장관.
목차
정의
고려 전기 10도(道) ·12주(州) 절도사체제 하의 지방장관.
내용

절도사 체제는 당나라에서 안사(安史)의 난 이후에 절도사 이하 관찰사(觀察使) · 단련사(團練使) · 방어사(防禦使) 등 군사적으로 편성한 지방제도였다.

고려도 당나라 제도에 따라 983년(성종 2) 12목(牧)이 설치되었던 큰 주(州)를 중심으로 995년(성종 14)에 12절도사를 두었고, 7 도단련사(都團練使) ·11 단련사 ·21 방어사 ·15 자사(刺史)를 설치해 군사적인 절도사 체제로 개편하였다. 이것은 거란의 제1차 침입을 겪은 이후 지방 호족세력의 통제 강화와 거란의 침입을 대비하기 위한 국방력의 강화를 위해서였다.

12주에는 절도사를 장관으로 하는 12군(軍)이 설치되었다. 관내도(關內道)주1- 좌신책군(左神策軍), 해주(海州)- 우신책군(右神策軍), 광주(廣州)- 봉국군(奉國軍), 황주(黃州)- 천덕군(天德軍) 등 4주, 중원도(中原道)에 충주(忠州)- 창화군(昌化軍), 청주(淸州)- 전절군(全節軍) 등 2주에 두었다.

하남도(河南道)에 공주(公州)- 안절군(安節軍), 강남도(江南道)에 전주(全州)- 순의군(順義軍), 영남도(嶺南道)에 상주(尙州)- 귀덕군(歸德軍), 산남도(山南道)에 진주(晉州)- 정해군(定海軍), 해양도(海陽道)에 나주(羅州)- 진해군(鎭海軍), 승주(昇州)- 연해군(兗海軍)을 두었다.

이렇게 각 도에 1명 내지 4명의 절도사를 두었지만, 영동도(嶺東道) · 삭방도(朔方道) · 패서도(浿西道)에는 두지 않았다. 이 해에 영동도에는 동경유수사(東京留守使)가, 패서도에는 서경유수사(西京留守使)가 설치된 것으로 보아 유수사는 절도사와 같은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절도사 체제는 1005년(목종 8)에 절도사만 남고 양계(兩界) 지방을 제외한 지역에서 도단련사 · 단련사 · 자사 등이 없어짐으로써 아래서부터 붕괴되었다. 대신 점차적으로 지주부군(知州府郡)과 현령(縣令)으로 대치되다가 1012년(현종 3)에 12절도사마저 폐지됨으로써 완전히 해체되었고, 5도호(都護)와 75도안무사가 설치되었다. 이로써 다시 주(州) · 부(府) · 군(郡) · 현(縣)을 기본으로 하는 군현체제로 변경되었으며, 절도사의 역할은 안렴사(按廉使)와 안찰사(按察使)로 대체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지방제도의 연구』(하현강, 한국연구원, 1977)
「고려 지방제도의 정비와 도제」(최정환,『경북사학』19, 1996)
「고려 현종대의 지방제도 개혁」(김갑동,『한국학보』80, 1995)
「고려전기의 외관제」(변태섭,『한국사연구』2, 1968:『고려정치제도사연구』, 1971)
「고려지방제도의 정비와 주현군의 성립」(이기백,『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 1965:『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1977)
주석
주1

서울

집필자
신안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