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로진 ()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 전기 1001년(목종 4), 북계(北界) 지역에 설치한 진(鎭).
이칭
이칭
평로성(平虜城), 유원진(柔遠鎭)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1001년(목종 4)
지역
자강도(慈江道) 동신군(東新郡) 서양리(西陽里) 유원진터
내용 요약

평로진은 고려 전기 1001년(목종 4)에 북계(北界) 지역에 설치한 진(鎭)이다. 이후 1041년(정종 7) 9월에 최충(崔冲)이 다시 성(城)과 보(堡)를 쌓았고 고려 장성(長城)을 확장하였다. 이후에 평로진은 유원진(柔遠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정의
고려 전기 1001년(목종 4), 북계(北界) 지역에 설치한 진(鎭).
위치

자강도(慈江道) 동신군(東新郡) 서양리(西陽里)의 유원진터로 비정된다.

형성 및 변천

1001년(목종 4)에 축성되었다. 이후 1041년(정종 7) 9월에 최충(崔冲)이 다시 성(城)과 주1를 쌓았다. 평로성(平虜城)의 규모는 582칸이었다. 평로진 주변에는 감시 초소 역할을 하는 보자(堡子), 즉 수(戍)가 6개소 설치되었다.

도융수(檮戎戍)는 36칸, 진흉수(鎭兇戍)는 30칸, 직잠수(直岑戍)는 41칸, 항마수(降魔戍)는 50칸, 절충수(折衝戍)는 30칸, 정융수(靜戎戍)는 30칸이었다. 그리고 관성(關城), 즉 고려장성 1만 4495칸이 축조되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뒤 시기에 평로진은 유원진(柔遠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한편, 1001년(목종 4)의 주2는 신축(辛丑)이고 1041년(정종 7)의 간지는 신사(辛巳)이다. 신사년 간지를 신축년으로 오독한 것으로 해석하여 『 고려사』 와 『 고려사절요』에서 1001년에 평로진을 축성하였다는 기록을 부정하는 일부 견해도 있다.

평로진에는 중랑장(中郞將) 1인, 낭장(郞將) 3인, 별장(別將) 7인, 교위(校尉) 15인, 대정(隊正) 21인, 행군(行軍) 847인, 정용(精勇) 13대, 좌군(左軍) 10대, 우군(右軍) 3대, 주3 4대, 주4 28인, 보반(步班) 42인, 백정(白丁) 42대의 주진군이 편성되었다.

의의 및 평가

평로진은 고려의 장성이 지나가는 주요 거점으로 주5이 설치되었다. 평로진은 고려 변경의 최일선 지역으로 여진인들의 주6 경로나 외적의 침입 경로에 있었다.

평로진 주변의 일부 여진인들은 고려의 축성에 도움을 주었다. 서여진(西女眞)의 추장(酋長) 고지지(高之知) 등은 평로성과 영원성(寧遠城) 개척에 도움을 주어 1042년(정종 8)에 예물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고려는 변경 지역의 여진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1073년(문종 27)에는 평로진 근방 여진 촌락의 주7를 고려 호적에 주8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원사(元史)』

단행본

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한국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7, 자강도(평화문제연구소, 2004)

논문

윤경진, 「고려 현종말~문종초 북계 주진 설치와 장성 축조」(『군사』 7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송용덕, 「고려전기 국경지역의 주진성편제」(『한국사론』 51,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5)
신안식, 「고려전기의 북방정책과 성곽체제」(『역사교육』 89, 역사교육연구회, 2004)
윤무병, 「고려북계지리고(상)」(『역사학보』 4, 역사학회, 1953)
윤무병, 「고려북계지리고(하)」(『역사학보』 5, 역사학회, 1953)
주석
주1

흙과 돌로 쌓은 작은 성(城).    바로가기

주2

동양에서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하여 만든 육십 개의 순서.    우리말샘

주3

고려시대, 지방 주현군(州縣軍)의 하나. 주로 북계(北界)의 부(府)·주(州)·진(鎭)에 딸렸던 군대의 하나.    바로가기

주4

고려 숙종 9년(1104)에 윤관이 조직한 별무반의 기병(騎兵).    바로가기

주5

국경(國境)이나 국내(國內) 요지(要地)의 통로(通路)에 두어서 외적(外敵)을 경비(警備)하며 그곳을 드나드는 사람이나 화물(貨物) 등(等)을 조사(調査)하던 곳.    바로가기

주6

외국의 사신(使臣)이 찾아옴.    우리말샘

주7

호적상 집의 수효와 식구 수.    우리말샘

주8

호적에 편입하거나 호적을 편성함. 또는 그 집.    우리말샘

집필자
송용덕(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