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릉 ()

조선시대사
유적
문화재
조선 제19대 국왕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 여흥민씨의 합장릉 및 제2계비 인원왕후 경주김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건립 시기
조선 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숙종|인현왕후|인원왕후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70년 05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2번지
내용 요약

명릉(明陵)은 조선 제19대 국왕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 여흥민씨의 합장릉 및 제2계비 인원왕후 경주김씨의 능이다. 숙종과 인현왕후는 쌍릉, 인원왕후는 뒷편 동원이강으로 조성되어 있다. 명릉은 정종 후릉의 체제를 따라 왕릉 석문 간소화의 표본이 된 곳이다. 사적으로 지정된 ‘고양 서오릉’에 자리한다.

정의
조선 제19대 국왕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 여흥민씨의 합장릉 및 제2계비 인원왕후 경주김씨의 능.
건립 경위

숙종(肅宗, 1661~1720, 재위 1674~1720)인현왕후(仁顯王后, 1667~1701) 승하 직후 자신이 합장될 주1으로 오른쪽을 비워 두는 허우지제(虛右之制)를 채택하였으며, 능지는 자신의 원비(元妃) 인경왕후(仁敬王后, 1661~1680) 주2 남쪽으로 정하였다.

1720년 숙종 승하 후 인현왕후의 오른쪽에 합장되어 쌍릉(雙陵)으로 조성되었다. 1757년 인원왕후(仁元王后, 1687~1757)가 승하해 숙종릉 뒷편 언덕에 동원이강(同原異岡: 같은 영역 내에서 언덕을 달리하는 형식)의 형태로 능이 조성되었는데, 이곳은 숙종이 1713년 자리를 잡은 곳이다.

형태와 특징

숙종과 인현왕후의 능은 쌍릉에 난간석(欄干石: 봉분 주위에 돌로 두른 난간)을 두르고 있으며, 석마(石馬) 2쌍, 양석(羊石)과 호석(虎石) 각각 2쌍이 주3 안에 있다. 봉분 앞에는 주4 2좌, 장명등(長明燈: 무덤 앞이나 절 안에 돌로 만들어 세우는 등), 주5 1쌍, 주6 1쌍, 주7 1쌍이 있다. 인원왕후릉에도 석상 1좌 등 주8의 수량은 숙종릉과 동일하다.

능강 아래에는 주9, 정자각, 비각, 주10 등이 있으며, 수라청(수라간)은 터만 남아 있다. 명릉은 재실(齋室)도 남아 있다.

금석문

1720년 숙종과 인현왕후 명릉의 합봉 표석이 민진원(閔鎭遠, 1664~1736), 조태구(趙泰耈, 1660~1723)의 글씨로 건립되었으며, 1757년 영조(英祖) 어필(御筆)로 인원왕후 명릉 표석이 추가 건립되었다.

의의 및 평가

숙종은 명릉에 인현왕후, 인원왕후가 모두 안장되어 선조(宣祖), 의인왕후(懿仁王后), 인목왕후(仁穆王后) 3릉이 있는 주11의 제도처럼 조성하길 원하였다. 더불어 숙종은 명릉을 조성하면서 석물 제도를 조선 왕릉 중 석물 크기가 가장 작은 정종(定宗)과 정안왕후(定安王后) 주12에 준하게 하였다.

따라서 후릉 석물의 크기를 모두 정밀하게 실측한 뒤 이에 맞추어 명릉 석물이 제작되었다. 후릉의 제도를 명릉에 도입한 것은 검소함을 실천하기 위함이었으며, 이로 인해 석물 제작에 동원되는 석장(石匠) 등 인력, 물자 등을 줄일 수 있었다. 명릉은 1970년 5월 26일에 사적으로 지정된 ‘고양 서오릉(西五陵)’에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숙종〕명릉산릉도감의궤(明陵山陵都監儀軌)』
『〔인원왕후〕명릉산릉도감의궤(明陵山陵都監儀軌)』
『인현왕후산릉도감의궤(仁顯王后山陵都監儀軌)』
『춘관통고(春官通考)』

단행본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Ⅵ』(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주석
주1

임금이 죽기 전에 미리 만들어 두는 임금의 무덤.    우리말샘

주2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오릉의 하나. 숙종 원비 인경(仁敬) 왕후의 능이다.    우리말샘

주3

능, 원, 묘 따위의 무덤 뒤에 둘러쌓은 나지막한 담.    우리말샘

주4

무덤 앞에 제물을 차려 놓기 위하여 넓적한 돌로 만들어 놓은 상.    우리말샘

주5

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    우리말샘

주6

능(陵) 앞에 세우는 문관(文官)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7

능(陵) 앞에 세우는 무관(武官) 형상으로 만든 돌. 능 앞 셋째 줄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 세운다.    우리말샘

주8

무덤 앞에 세우는, 돌로 만들어 놓은 여러 가지 물건. 석인(石人), 석수(石獸), 석주, 석등, 상석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임금이 능에서 제사를 지내고 축문(祝文)을 태우던 곳.    우리말샘

주10

능(陵), 원(園), 묘(廟), 대궐, 관아(官衙) 따위의 정면에 세우는 붉은 칠을 한 문(門). 둥근기둥 두 개를 세우고 지붕 없이 붉은 살을 세워서 죽 박는다.    우리말샘

주11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선조와 비(妃) 의인 왕후 및 계비(繼妃) 인목 대비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12

경기도 개풍군 흥교면 흥교리에 있는, 조선 정종과 비 정안 왕후(定安王后)의 능.    우리말샘

집필자
김민규(동국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