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진덕여왕릉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진덕여왕릉 좌측면
경주 진덕여왕릉 좌측면
선사문화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28대 진덕여왕의 능. 왕릉.
이칭
이칭
진덕여왕릉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현곡면 오류리 산48번지 임야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28대 진덕여왕의 능. 왕릉.
내용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9,498㎡. 무덤의 지름은 14.4m, 높이는 4m이다.

진덕여왕의 성은 김씨, 이름은 승만(勝曼)으로 신라 제27대 선덕여왕의 뒤를 이은 신라의 두 번째 여왕이며, 어머니는 박씨로 월명부인(月明夫人)이다.

647년에 왕이 되어 654년에 승하하였다. 7년간 왕으로 있는 동안 국력을 길러 고구려와 백제를 견제해 삼국통일의 토대를 닦았다. 죽은 뒤 사량부(沙梁部)에 장사지냈다는데 지금의 위치로 비정되고 있다.

무덤은 구릉(丘陵)의 중간 부분에 있다. 외부모습은 흙으로 덮은 둥근 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서 밑둘레에는 병풍(屛風) 모양으로 다듬은 판석(板石)으로 무덤 보호석을 마련하고 판석의 사이사이에는 12개의 탱석(橕石)을 끼워 넣어 방향에 따라 12지신상(十二支神像)을 새겼다.

판석으로 된 호석 위에는 장대석(長臺石)으로 된 갑석(甲石)을 올려놓았으나 뒤에 보수하여 원래의 장대석이 아닌 것도 있다. 호석뿌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무덤 및 둘레를 따라 깐돌[敷石]을 놓고 그 밖으로 돌난간을 세웠는데 지금은 난간부재가 거의 없어졌다. 무덤 앞에 있는 축대와 통로는 최근에 만든 것이다.

능의 형식은 기본적으로 선덕여왕 이후의 것과 동류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호석에 12지신상을 새겨놓은 성덕왕릉(聖德王陵)·경덕왕릉(景德王陵)·원성왕릉(元聖王陵)·헌덕왕릉(憲德王陵)·흥덕왕릉(興德王陵)·김유신묘(金庾信墓), 경주 구정동 방형분(方形墳) 등과 비교해볼 때, 조각수법이 가장 뒤져 있다.

의의와 평가

한편, 기록에 나타나는 매장지인 신라의 사량부는 현재의 경주 흥륜사지(興輪寺址) 일대로 추정되고, 아울러 12지신상의 조각수법이 뒤진다는 점 등을 들어 진덕여왕의 능이 아니고 신무왕릉이라는 주장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왕릉연구』(이근직, 학연문화사, 2012)
『경주지역문화유적보존개발계획』(경상북도·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 1986)
『문화재대관』사적편(문화재관리국, 1975)
「신라십이지상의 분석과 해석」(강우방,『불교미술』1, 1973)
집필자
조유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