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무 ()

목차
관련 정보
학무 / 학 쪼는 사위
학무 / 학 쪼는 사위
무용
작품
조선 전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이칭
이칭
학춤
목차
정의
조선 전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내용

조선 전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로, 학무의 내용은 조선전기의 문헌에 전해지지만, 고려시대 「연화대」에 연꽃에서 동녀(童女)가 나온다는 대목을 통해 그 이전부터 추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악학궤범』 권5의 무보(舞譜)에 의하면, 연못을 상징하여 꾸민 주1을 만들어 그 주위에 연꽃과 잎사귀를 꽂고, 꽃병 7개에는 모란꽃을 꽂아 돌려놓고, 전면에 칠보등롱(七寶燈籠)을 달아놓는다. 앞쪽 좌우에는 큰 연화통(蓮花筒)을 만들어놓고, 그 연통 속에 미리 동녀를 숨겨놓은 다음, 청학(靑鶴)과 백학(白鶴)의 탈을 쓰고 춤을 춘다.

두 학은 연통을 중심으로 몸을 흔들기도 하고(振身), 부리[觜]를 맞추는 시늉(鼓觜), 부리를 땅에 씻는 시늉(拭地), 목을 쳐들고 부리를 놀리며 벌레를 삼키는 시늉(擧首鼓觜) 등 학의 가지가지 동작을 하며 연통 안팎으로 돌다가 연통을 쪼아 연통이 벌어지면서 그 속에 숨어 있던 두 동녀가 나온다. 두 학은 이를 보고 놀라 뛰어나가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1893년(고종 30)의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는 청학과 백학이 청학과 황학(黃鶴)으로 그 빛깔이 달라졌을 뿐, 춤추는 내용은 『악학궤범』의 내용과 같다. 이 춤의 반주로 쓰이는 음악은 주2 한 곡에 맞추어 추다가 고종 무렵에는 향당교주(鄕唐交奏)로 바뀌었다.

『악학궤범』 권8에 의하면 학의 의물(儀物)을 만드는 제도는 학은 청학과 백학 각 하나씩으로 몸 거죽은 대[竹]로 만들어 종이를 바르고 목은 둥그렇게 대를 말아 엮고, 거죽은 백포(白布), 내경(內頸)은 긴 나무를 쓴다. 또, 숙승(熟繩)을 써서 아래 주둥이에 매달아 이것으로써 흔들어 돌아보고 쪼는 형상을 짓는다. 백당안(白唐雁) 날개를 붙이는데 청학은 청칠(靑漆)을 한 날개를 붙인다. 날개는 관(鸛 : 학의 일종)의 날개 털을 쓰고, 꼬리는 검은 닭 꼬리를 쓰고, 푸른 주둥이를 가진다. 청학은 초록 주둥이다.

두 무릎에는 붉은 치마, 붉은 버선, 붉은 나무발을 입고 신는다. 청학은 푸른 치마, 푸른 버선, 초록 나무발이다. 또, 백포를 썰어 배 밑으로 늘어뜨려 오금[膝]을 가리고(청학은 청포), 가슴 앞과 두 날개 밑으로 조그마한 구멍을 두어 엿보게 한다. 1877년의 『진작의궤』『진찬의궤』에 의하면 정재여령(呈才女伶)의 복식은 청황고말(靑黃袴襪)을 입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춤이 실려 있는 무보로는 『악학궤범』 권5와 1893년의 『정재무도홀기』가 있다. 현재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학무는 그 탈과 의상 · 춤사위 · 음악 등이 전통적인 학무와는 다른 것이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한국궁중무용사』( 손선숙, 보고사, 2017)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한국전통무용』(성경린, 일지사, 1982)
주석
주1

나라 잔치 때, 침상처럼 생긴 널빤지에 채색으로 꾸미어 연꽃과 연잎을 꽂아 두던 제구. 우리말샘

주2

궁중 연례악의 하나로, 오양선정재(五羊仙呈才), 수보록정재(受寶錄呈才), 수명명정재(受明命呈才), 향발정재(響鈸呈才) 등을 공연하거나, 학무(舞鶴)ㆍ연화대(蓮花臺)ㆍ처용무를 함께 공연할 때 사용하던 악곡.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