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방도적산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인의 비수한표한병에서 나타나는 두통 · 결흉과 흉격번열 등을 치료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양인의 비수한표한병에서 나타나는 두통 · 결흉과 흉격번열 등을 치료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처음으로 제시된 처방이다. 이 처방의 구성은 생 지황(生地黃) 11.25g, 주2 7.5g, 현삼(玄蔘) · 주1 각 5.625g, 전호(前胡) · 강활(羌活) · 독활(獨活) · 형개(荊芥) · 방풍(防風)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생지황은 심장과 신장에 영향을 미쳐 화(火)를 내려주고 흉부에서 발생하는 주3을 진정시켜준다. 목통은 심장의 화와 폐장의 열을 다스려주고 화기가 주6되어 발생한 주7를 소변으로 배설시켜주는 약이다.

또한, 현삼은 음(陰)을 보하여주고 화를 맑게 해 주며, 과루인은 흉부의 화를 내려주고, 열감을 수반한 답답한 증세를 제거하여주는데, 이들 약물이 양이 성하고 음이 약한 소양인에게 음을 보하여주고 양을 억제하여주는 작용을 함으로써 정상화시키는 기본적인 작용을 한다.

여기에 전호가 추가되어 비(脾)의 기능을 부드럽게 하고 화를 내려주고 담을 없애주므로 흉부의 화를 처리하는 데 만전을 기하고, 독활과 강활이 주4의 사기를 없애주며, 형개와 방풍은 흉부와 두부의 화를 제거하여줌으로써 인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열을 없애줄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처방이다.

이 처방과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을 비교하면 서로 표리관계에 있는 처방으로 형방패독산은 병의 사기가 신체의 체표부에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 적당한 처방이고, 형방도적산은 사기가 안으로 들어가 가슴과 옆구리에 열감이 수반된 답답한 증세를 느낄 때 적당한 처방이다. 즉, 전자는 체표의 사기를 발산함으로써 양기를 강화시켜주고, 후자는 안으로 사기를 조화롭게 없애줌으로써 양기를 강화시켜주는 처방이다.

이 형방도적산의 변방(邊方)으로는 도적강기탕(導赤降氣湯)이 있는데 이는 형방도적산 본방 내용에 복령(茯苓)택사(澤瀉)의 두 가지 약물을 추가한 처방으로 소양인의 표병증(表病症)에 속하는 주5을 다스려주는 처방이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증보동의사상신편(增補東醫四象新編)』(원지상, 종합의원사, 1974)
『동의수세보원주석(東醫壽世保元註釋)』(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주석
주1

하눌타리의 씨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젖과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거나 종기를 가라앉히는 데 쓰인다. 우리말샘

주2

으름덩굴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길이는 5미터 정도이며, 잎은 잔잎 다섯 장이 둥글게 모여 어긋나거나 뭉쳐나는데, 잔잎은 긴 타원형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4~5월에 연한 자주색 단성화가 총상(總狀) 화서로 잎겨드랑이에서 길게 드리워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蒴果)로 식용하고 뿌리와 가지는 약용한다. 한국의 황해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3

피가 뇌로 올라가는 느낌

주4

삼초(三焦)의 하나. 배꼽 아래의 부위로 콩팥, 방광, 대장, 소장 따위의 장기(臟器)를 포함한다. 우리말샘

주5

사기(邪氣)가 가슴 속에 몰려 생긴 증상. 명치 끝에서 하복부에 걸쳐 딴딴하고 아프다. 우리말샘

주6

가슴이 답답하게 막힘. 우리말샘

주7

먹은 것이 잘 삭지 아니하여 생기는 가벼운 체증. 우리말샘

집필자
송일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