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전형적인 ㅁ자형 가옥으로 안채를 중심으로 좌측에 작은 사랑채, 우측에 곳간채, 전면에 큰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건물은 강릉 시내 도립병원 근처에 있는 가옥을 150년 전에 이축해 온 것으로, 자세한 건립 연대는 미상이다.
안채는 우측에서 부엌 · 안방 · 건넌방 · 건넌방 · 마루로 구성된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도리 팔작기와지붕 형식으로, 부엌의 우측은 한 칸을 덧붙여 찬방으로 쓰고 있다. 기단은 화강석 사괴석 두겁대 쌓기로 하고 자연석 초석을 두고 네모기둥을 세웠으며, 외벽체는 흙벽 위 강회마감을 하였다. 창호는 두짝여닫이 세살창호와 두짝미닫이 창호이다.
작은 사랑채는 사괴석 초벌 쌓기 기단으로 전면에 툇마루가 있으며 마루방에 이어서 방 · 방 · 마루로 안채에 붙어 ㄱ자배치를 하고 있다. 전면은 툇마루에 의해 연결되며, 방은 비닐장판, 벽지, 천장지로 마감되어 있고, 창호는 두짝여닫이 세살문과 두짝여닫이 亞자문이다.
마루는 우물마루 바닥에 연등천장으로 원래 두 칸이었으나 한 칸은 방으로 개조하였다. 곳간채는 부엌에 이어져 있으며, 바닥은 우물마루, 벽은 판벽, 출입문은 두짝여닫이 판문이다. 곳간채의 끝부분, 즉 출입 평대문의 우측은 외양간이었으나 지금은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큰 사랑채는 우물마루의 마루방과 두 칸의 사랑방으로 구성된다. 마루방의 전면과 측면에는 머름을 둘렀으며, 전면은 궁창사분합문 상 · 하부에 머름을 두었고, 측면창호는 두짝여닫이 울거미널로 되어 있다. 방은 벽지 · 천장지 · 비닐장판으로 마감되었고, 큰 사랑채의 전면에는 우물마루 형식의 툇마루가 있어 방과 행랑방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
아울러 마루방과 방의 사이에는 미닫이문이 있어 내부에서도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면 마루의 상부는 홍예보와 연등천정으로 구성되어 사랑채로서의 멋을 내고 있다.
큰 사랑채와 작은 사랑채 사이에는 부출입구로 사용 가능한 대문간이 있고, 이곳에는 작은 사랑채에 난방을 하는 아궁이가 있다. 집 주위는 흙과 돌로 된 담장 위에 기와를 얹어 주위를 두르고 있고, 중정의 중앙에는 장독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