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룡포 부 용문보는 황제의 평상복인 황색 곤룡포 1점과 곤룡포에 부착된 용무늬 표장이다. 조선 시대 왕의 평상복은 다홍색 곤룡포였는데 고종황제 때부터 황색 곤룡포를 착용했다. 이 황색 곤룡포는 순종황제가 입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용무늬 표장인 용문보가 양어깨와 가슴, 등에 2쌍 4점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슴에는 해를, 등에는 달을 상징하는 원형 무늬가 수놓아져 있다. 이 곤룡포는 20세기 초기의 단령(깃) 양식을 보여 준다. 이 황제 곤룡포는 대한제국 시기 국왕의 평상시 복식 제도를 참조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황실 유물이다.
대한제국 시기 황제용 황색 곤룡포로서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무늬가 수놓인 원형의 용문보(龍紋補)가 부착되어 있어 “곤룡포부용문보(袞龍袍附龍紋補)”라는 명칭으로 지정되었다. 곤룡포는 황제나 왕이 일상적으로 정사(政事)를 볼 때 착용하는 상복(常服)에 해당하는 옷이다. 용문(龍紋)의 보(補)를 달기 때문에 곤룡포라 한다.
조선시대 역대 왕의 상복은 명나라 친왕제(親王制)를 적용하여 다홍색 곤룡포를 착용하였다.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1751)에 전하(殿下) 시사복(視事服)으로 익선관(翼善冠), 다홍 곤룡포, 옥대(玉帶), 흑화(黑靴) 일습이 도설(圖說)되어 있다. 용문보는 금사로 수놓은 오조룡보(五爪龍補)로서 두 쌍의 용보는 만듦새에 차이를 보이는데 양어깨에 부착된 용보는 후에 제작한 것이라 한다.
고종 34년(1897)에 대한제국으로 국호가 바뀌어 광무 황제로 등극하면서 황색의 곤룡포(황룡포)를 착용하게 되었으며, 1907년에는 순종도 융희 황제로 등극하면서 황색 곤룡포를 착용하였다. 윤황후(순종황제비)로부터 세종대학교(전 수도여자사범대학)에 기증된 유물 중 한 점으로 순종황제가 착용하였던 것이라 전한다. 1979년에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곤룡포의 겉감은 황색의 운보문사(雲寶紋紗)로서 홑 단령(團領)으로 만들고 안감은 다홍색 운보문사로 홑 직령(直領)을 만든 후에 겉과 안의 시접이 마주보도록 끼운 후 부분적으로 징구어 주어서 겹단령으로 만든 형태이다. 깃, 도련, 배래선 부분에서 분리되어 각각 바느질되어 있으며 나머지 솔기선은 함께 바느질되어 있다. 비교적 넓은 단령깃(4.3㎝)과 뒤로 접혀진 무의 윗부분이 뒷길에 부착되어 있는 등 20세기 초기의 단령양식을 보이고 있다.
유물의 크기는 뒷길이 127㎝, 화장 95㎝, 뒤품 54㎝이다. 소매는 비교적 넓은 광수형태로 진동 27㎝, 소매나비 40.5㎝, 수구 18.5㎝이다. 안감의 직령깃에는 다홍색 은조사로 만든 동정이 달려 있으며 깃에는 쌍밀이 단추와 섶과 길쪽에는 고름(10㎝, 길이 93.5㎝)을 부착하여 여밈 하였다. 이때 겉섶쪽의 고름은 황색과 다홍색으로 쌍고름이 달렸다. 옥대를 고정하기 위해 진동 부근에 대(帶)고리(너비 2㎝, 길이 13.5㎝)가 달렸으며 겨드랑이 사이에는 너비 2.1㎝, 길이 68㎝의 끈이 반으로 접어 달려 있다. 겨드랑이 바로 아래로 옆선에 무가 달려 뒤로 접혀 있으며 무의 머리부분에서 33㎝ 내려온 곳까지는 뒷길에 성글게 징구어 고정시켜 주고 나머지는 트여 있다. 단령의 겉감과 안감을 홑옷처럼 만들었기 때문에 겨드랑 바대, 수구 안단, 도련단 등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용문보는 현재 양어깨[兩肩]와 가슴[胸], 등[背]에 2쌍 4점이 부착되어 있으며, 보의 크기는 지름이 19㎝이며 발톱이 5개인 오조룡(五爪龍)이 중앙부위 구름사이로 황제의 상징인 일월문(日月紋)이 수놓여 있다. 가슴에는 해를 상징하는 원형문을 다홍견사로 수놓았으며 등에는 달을 상징하는 흰색견사로 수놓아 있다.
곤룡포는 왕의 시사복으로 착용 빈도가 가장 높은 복식[衣襨]이나 조선시대 역대 왕들이 상복으로 착용한 다홍색 곤룡포는 유물이 남아 있지 않다. 다만 고종의 아들인 영친왕(1897∼1970)의 유물이 있을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한제국 시기의 황제 곤룡포(황룡포)는 매우 귀중한 황실의 유물이다.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에는 황룡포를 착용하거나 승하 시 사용한 기록이 있다. 대한제국기 황실 가족사진에서 고종과 순종의 곤룡포 착장 모습을 볼 수 있다. 197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된 전 고종 익선관과 함께 구한말 국왕의 평상 시 복식제도를 참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