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정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의례·행사
부처의 오지(五智)를 상징하는 다섯 병의 물을 머리 위에 붓는 불교의식. 밀교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부처의 오지(五智)를 상징하는 다섯 병의 물을 머리 위에 붓는 불교의식. 밀교의식.
연원 및 변천

인도 제왕(帝王)의 즉위식 때, 사대해수(四大海水)를 떠서 태자의 정수리에 부어 사해를 장악할 것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행하여졌다. 불교에서도 이를 채택하여 수행자가 입문하거나 도를 깨달을 때 이 의식을 행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법상종의 시조인 진표(眞表)속리산에서 생명을 돌보지 않고 열심히 참회하는 영심(永深)과 융종(融宗) 등에게 법을 전하고 관정하였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최초의 기록이다. 특히, 밀교가 성행하였던 고려시대에는 『관정경(灌頂經)』과 그 다라니를 외우며 재난을 없애려고 기원했던 관정도량이 자주 개설되었는데, 이때 관정이 행해졌다.

1101년(숙종 6) 4월, 1127년(인종 5) 3월, 1212년(강종 1) 1월, 1260년(원종 1) 4월, 1269년 12월, 1274년(충렬왕 즉위년) 9월, 1308년(충선왕 즉위년) 8월 등에 관정도량이 개설되었다. 이 가운데 1101년의 관정도량은 송충이의 해를 없애기 위해서 수갑산(首押山)에서 행하였고, 1260년 · 1274년 · 1308년의 관정도량은 왕이 수계의식(受戒儀式)을 겸하여 사해를 장악하는 성군(聖君)이 될 것을 맹세하는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조선시대에 행해졌다는 기록은 거의 보이지 않고 있으며, 현대에는 대한불교진각종 · 대한불교진언종 등의 밀교 계통 종파에서 행해지고 있다.

행사내용

관정의 종류는 경전에 따라서 2종관정 · 4종관정 · 5종관정 · 7종관정 · 13종관정 등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대일경(大日經)』의 사업관정(事業灌頂) · 인법관정(印法灌頂) · 심이관정(心以灌頂)으로 분류되는 3종관정이다.

사업관정은 땅을 고르고 단을 만든 뒤 일정한 의식절차에 따라서 행하는 관정이며, 인법관정과 심이관정은 의식작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비인(祕印)만을 전하는 관정이다. 일반적으로 관정이라 하면 사업관정을 뜻한다. 사업관정의 의식을 집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의식을 행하는 의식승(儀式僧)의 배역을 정하고, 길일을 택하며, 관정의 법단을 장엄하는 일 등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대일경(大日經)』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