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武州: 무진주) 장사현(長沙縣)의 부수(副守 : ‘制守’의 誤記라고 함.)를 지내고 병부 시랑 · 전중 대감(殿中大監)을 역임했으며,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역임한 관직으로 보아 육두품 신분으로 여겨진다. 그는 821년(헌덕왕 13) 신라인으로는 처음으로 당나라의 빈공과(賓貢科)에 합격한 김운경(金雲卿)과 동일인이라는 견해가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김언경과 김운경은 양자의 활동 상황을 감안할 때 별개의 인물로 보아야 할 것이며, 경명왕비장사택(長沙宅)의 조부인 이찬(伊飡) 김수종(金水宗) 또는 김수종(金遂宗, 邃宗)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도 있다.
일찍이 장사현부수로 있을 때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자 헌안왕의 명을 받아 다약(茶藥)을 받들고 가서 그를 맞았다. 그 뒤 체징이 가지산파(迦智山派: 가지산문)를 개창한 후에는 재가제자(在家弟子)가 되어 사재(私財)로 철 2,500근을 사서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한 구를 만들어 봉헌(奉獻)하는 등 선종구산문 중 가지산파의 후원에 크게 힘썼다.
글씨를 잘 써 당대의 명필이라 불렸으며, 특히 행서(行書)에 능했는데 필법은 저수량(褚遂良)을 본받았다고 한다.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碑)」(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는 김원(金遠)과 함께 쓴 것인데, 처음에 김원이 머리에서 7행까지 해서(楷書)로 쓴 뒤 그만두자, 이어서 그가 7행의 선(禪)자 이하를 행서로 썼다. 그 필세는 “철근(鐵筋)과 같고 운치(韻致)가 횡일(橫溢 : 물이 가로 넘쳐흐르는 것)하는 신품(神品)이다.”라고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