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

목차
정치
인물
재무부장관, 경제기획원장관, 주미대사 등을 역임한 관료 · 외교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1년(고종 38)
사망 연도
1989년
본관
김해
출생지
서울시
관련 사건
탈모비누 사건|경제개발 5개년 계획|한일협정
목차
정의
재무부장관, 경제기획원장관, 주미대사 등을 역임한 관료 · 외교관.
내용

1901년 11월 3일 서울 출생으로,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양정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1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광산과를 졸업했다.

1923년 원산 루시아고등여학교 물리교사로 부임해 3년간 근무하고, 루시아여학교의 설립자 겸 교장인 선교사 올리버 여사의 권유로 미국 유학 길에 올랐다. 1926년 버지니아주 린치버그대학교 경제학과 3학년에 편입, 1929년 졸업한 후 컬럼비아대학교로 진학해 1932년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대학 재학 중인 1931년 뉴욕에 있는 삼일보사(三一報社)에 근무하기도 했으며, 졸업 후 1933년 이승만(李承晩)의 요청으로 워싱턴의 아메리칸대학교 박사과정에 진학, 일제의 식민통치와 조선경제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메리칸대학 재학 중이던 1933년 이승만의 제안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부(駐美外交委員部) 위원 겸 재정부장을 맡아 활동했다. 1941년 미국 해외경제처, 1945년 작전부에서 근무했다.

해방 이후 이승만은 1945년 10월에 귀국했으나, 그는 미국에 남아 미국 정부기관인 극동경제개발처(FEA)에 근무하면서 주미외교위원부의 잔무(殘務)를 처리했다.

한국전쟁 휴전 직후인 1953년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전문을 받고 귀국해 곧바로 기획처 차장으로 부임하며 대한민국 정부관료로서의 길을 걸었다. 1954년 이승만 대통령 방미(訪美) 수행원으로 참여했으며, 1955년 2월 농림부 차관, 7월 제6대 재무부 장관으로 발탁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국제통화기금(IMF) 대표위원이 되었다.

1956년 5월 제2대 부흥부(復興部) 장관 겸 경제조정관이 되었다가, 1957년 7월 다시 제8대 재무부 장관으로 복귀했으며, 외무부 외교위원회 위원에 위촉되었다. 1959년 3월 재무부 장관에서 물러났다.

1960년 3·15 부정선거 당시 자유당 중앙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다시 요직에 등용되었다. 1962년 6월 경제기획원 장관으로 발탁되었고, 같은 해 7월부터 1963년 12월까지 제4대 내각수반으로 활동하며 박정희(朴正熙) 정권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화폐개혁 등을 주도했다.

1963년 12월 30일부터 1964년 2월 17일까지 대통령 전권특사로 홍콩, 베트남, 프랑스, 서독, 영국, 미국, 일본 등 40개국을 친선 방문했으며, 대통령의 지시로 하와이에 있는 이승만을 병문안 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한일협상 타결을 위해 활동했다. 1964년 3월 대통령 특별고문, 5월 행정개혁조사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64년 11월 제7대 주미대사(駐美大使)로 임명되어 1965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의 방미와 1966년 11월 미국 존슨 대통령의 방한(訪韓)을 성사시켰다. 1965년 7월 22일 하와이 호노룰루 한인교회에서 열린 이승만 영결식에 정부 대표로 참가했다. 1966년 11월 3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 받았으며, 1967년 공직생활을 마감했다.

이후 1968년부터 1979년까지 5·16장학회 이사장을 역임했고, 1971년 3월 공화당 대통령선거대책위원회 고문에 위촉되었다. 1973년부터 1979년까지 헌법위원회 초대 위원장, 1980년부터 1989년까지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을 지냈다.

1980년 2월 최규하 정권의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 1981년 4월 전두환 정권의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에 위촉되었다. 1981년 현대그룹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1989년 1월 27일 88세로 사망했다.

상훈으로는 1963년 대한민국 청조소성훈장(靑條素星勳章), 1979년 국민훈장 무궁화장(無窮花章) 등이 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건국10년지』(대한민국건국10년지간행회, 1956)
「전 내각수반 주미대사 김현철씨 별세」(『동아일보』, 1989.1.28)
집필자
변은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