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비장 ()

목차
의생활
개념
누비 기법으로 바느질을 하는 장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누비 기법으로 바느질을 하는 장인.
내용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누비장은 일반 바느질은 물론 누비는 기술을 겸한 특수한 장인이다.

누비는 옷감의 강도(補强)와 보온(保溫)을 위해 사용된 기법으로 몽고 지방 고비 사막 일대에서 시작되어 서기전 200년경 중국과 티베트에서 사용되었으며, 점차 세계 여러 나라, 특히 동아시아 · 이란 · 중동 · 아프리카 · 회교도 지역 등에서 오랫동안 복식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누비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구려 고분벽화 감신총(龕神冢)의 누비갑주나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예조(濊條)에 나오는 준의(繜衣)의 기록에서 보면 이미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누비는 기법이 단순하고 쉽지만 과학적이어서 고운 천으로 누비옷을 하여도 세탁 후 바느질 모양이 틀어지지 않고 솜에 의해 시접 자국이 생기지 않아 옷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어서 실용적이다.

누비의 형태는 옷감의 특성과 옷의 종류에 따라 그 간격이 0.3∼20㎝까지 다양하다. 두꺼운 솜옷인 경우 간격이 넓고 바느질도 성글게 되어 있으며, 얇은 옷감은 그 반대의 형태이다.

주로 명주를 많이 사용하는데 명주는 입어서 육안으로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며 몸에 닿으면 천의 질감이 부드럽고 따뜻하기 때문이다. 무명에 누비를 할 때는 박음질을 많이 사용하였다.

『궁중발기(宮中發記)』에 나타난 기록으로 누비의 종류를 알 수 있는데 누비 간격에 따라 잔누비(세누비) · 중누비 · 드문누비로 나뉘며, 누빈 형태에 따라 오목누비 · 납작누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재봉 방법에 따라 홈질누비와 박음질누비로, 솜의 첨가 유무로 솜누비와 겹누비로 나눌 수 있다. 이 외에 중국에서는 치납(緇衲), 청납(靑衲), 취납(翠衲), 자납(紫衲) 등 옷의 색깔로도 분류하고 있다.

누비를 할 때 제일 먼저 하는 일은 옷감에 줄을 치는 일로, 천의 조직에 따라 줄을 그어 다림질로 꺾기도 하고 올을 튀겨서 하기도 한다. 근래에는 직물을 제직할 때 줄을 넣어서 제직하는 방법이 고안되기도 하였다.

누비는 도구로는 실 · 바늘 · 누비밀대 · 자 · 초오크 · 골무 등이 필요한데, 실의 종류는 천의 재질에 따라 달라진다. 면은 면실을, 명주는 명주실을, 나일론은 테트론사를 쓴다. 실의 굵기는 옷감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얇은 옷감일수록 가는 실을 사용해야 한다. 바늘은 누비의 골에 따라 달라지는데, 0.3∼0.8㎝누비는 가는 바늘을, 0.8∼1㎝누비는 중간 바늘을 사용하고, 시침질할 때는 큰 바늘을 사용한다.

누비는 옷에는 홈질 · 감침질 · 숨뜨기 · 뒤땀질 · 상침 등의 바느질법을 사용한다. 누빌 때는 홈질을, 누빈 다음 천과 천을 붙여야 하는 경우 겉천에는 감침질을, 안감을 붙일 때는 숨뜨기를 사용하며, 어떤 선을 고정시킬 때나 박음선을 모양으로 사용할 때는 상침을 하고, 처음 시작할 때와 마무리 할 때는 뒤땀질을 사용한다.

누비유물로는 거의 모두가 실용적인 방한용으로 여자의 속옷류를 비롯하여 치마 · 저고리 · 장옷 · 남자의 바지 · 철릭 · 액주음 · 중치막 · 직령 등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누비는 복식뿐 아니라 이불, 퇴침 등의 침구류와 패옥집, 각대집, 보자기, 천의, 방장 등의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근대 이후 손누비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중화되지 못하고 상류층의 전유물로 남게 되었고, 1910년대 이후 도입된 재봉틀의 사용과 함께 기계 누비가 유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기계누비는 손누비만큼 부드럽지 못하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유구한 역사를 지닌 누비의 현대적 계승에 커다란 아쉬움이 따랐다.

이러한 때에 고(故) 김해자(金海子)는 옛날 조선조의 손누비 기법을 여러 선인들에게 직접 사사하였고 또한 여러 기법과 기술을 익혀 1996년 12월 10일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생전에 국가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로서 활발히 홛동하였다.

참고문헌

『무형문화재 지정보고서』(유송옥, 문화재청, 1996)
『조선조궁중풍속연구』(김용숙, 일지사, 1987)
『조선재봉전서』(김숙당, 활문사, 1925)
「누비 소고」(박성실,『복식』,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