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치막 ()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 중치막
문경 최진일가묘 출토복식 중치막
의생활
물품
조선시대, 왕실의 연거복 및 사대부의 편복으로 곧은 깃에 소매가 넓고 양옆에 트임이 있는 포(袍).
이칭
이칭
듕치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중치막은 조선시대 왕실의 연거복 및 사대부의 편복 포로 문헌 기록과 유물은 16세기부터 보인다. 형태는 곧은 깃에 소매가 넓고 양옆의 무에는 트임이 있으며, 겨드랑이에는 삼각무가 달려 있었으나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차 무와 삼각무가 사라지게 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왕실의 연거복 및 사대부의 편복으로 곧은 깃에 소매가 넓고 양옆에 트임이 있는 포(袍).
연원

중치막(中致莫)에 관한 문헌과 유물은 16세기 중반부터 확인된다. 중치막이라는 명칭은 문헌에서 ‘中赤莫’, ‘中致莫’, ‘重赤莫’, ‘中超莫’, 듕치막 등으로 기록되었다. 중치막이 언급된, 왕과 관련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역대 『빈전도감의궤』, 『빈전혼전도감의궤』 「삼방의궤」에 있으며, 왕세자의 중치막에 관한 기록은 『승정원일기』, 『빈궁혼궁도감의궤』 「삼방의궤」에 있다. 사대부들이 중치막을 착용한 기록은 『묵재일기』, 『쇄미록』, 『순천김씨 언간』, 『현풍곽씨 언간』, 『홍재전서』, 『상례언해』』, 『사례편람』, 『광례람』, 『숙재집』 등에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착용하던 중치막은 1884년(고종21)에 광수의 도포, 직령, 창의, 중의 등을 금지하는 사복(私服) 제도를 개정하면서 점차 사라졌다.

형태 및 용도

중치막의 형태는 곧은 깃에 소매가 넓고 가 달려 있으며 양옆에 트임이 있다. 겨드랑이에는 삼각무가 달려 있었으나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차 무와 삼각무가 사라지게 되었다. 왕의 중치막 착용 용도는 습, 소렴, 대렴, 자궁 의대였으며, 또한 이것은 해인사의 장경판전을 재중수할 때의 공물로 사용하였다. 직물은 단(緞), 능(綾), 주(紬) 등이며, 무늬는 용문, 운보문(雲寶紋), 포도문 등을 사용하고, 색상은 옥색, 남색, 초록색이었다. 세자의 중치막 착용 용도는 문효세자의 습과 소렴에 관한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직물은 단과 주를, 색상은 자적(紫赤), 연두, 옥색, 남색 등을 사용하였다. 사대부들은 관복과 다른 포(袍)의 받침옷이나 평상복, 염습의로 사용하였으며, 직물은 면주를, 색상은 청색 계열과 소색(素色) 계열을 입었는데 실제 착용한 모습은 회화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천 및 현황

중치막의 유물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16세기 유물로 2009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59호로 지정된 ‘문경 최진 일가 묘 출토복식’에 있는 아청색 누비 중치막이다. 이 옷에 대한 왕의 유물로는 해인사 성보 박물관에 소장되어 국가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던, 광해군(光海君,1575~1641)의 담청색 운보문단(雲寶紋段)으로 만든 솜 중치막이 있다. 사대부들의 중치막 유물은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 출토 유물과 전래 유물 등이 많이 있다. 유물은 16세기에 처음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17세기는 유물이 가장 많이 있어 이 시기에 중치막이 가장 널리 착용한 것을 알 수 있으며, 18세기에서 19세기로 갈수록 유물의 수량은 적어진다. 유물의 유형은 홑, 겹, 솜, 누비 등 다양하였다.

시대에 따라 형태는 , 소매의 모양, 겉섶, 무, 겨드랑이의 삼각무가 변화하였다. 깃의 형태는 이중 칼깃, 칼깃, 목판(木版) 당코 깃에서 점차 둥근 깃으로 변화하였으며, 소매의 모양은 착수 형에서 두리 소매 형으로 변화한 후 광수 형으로 되었다. 겉섶의 너비는 초반에는 넓어 이중 섶이었으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져서 단일 섶으로 변하였다. 양옆에 있는 무는 사다리꼴에서 삼각형으로 변화한 후 17세기부터 점차 사라지게 되었으며, 겨드랑이의 삼각무은 무의 형태 변화에 따라 같이 사라지게 된다. 중치막을 착용할 때는 머리에는 흑립을 쓰고 허리에는 세조대를 띠었다.

참고문헌

원전

『광례람(廣禮覽)』
『묵재일기(默齋日記)』
『빈전도감의궤(殯殿都監儀軌)』
『빈전혼전도감의궤(殯宮魂宮都監儀軌)』
『사례편람(四禮便覽)』
『상례언해(喪禮諺解)』
『쇄미록(瑣尾錄)』
『숙재집(肅齋集)』
『순천김씨 언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현풍곽씨 언간』
『홍재전서(弘齋全書)』

단행본

옛길박물관, 『중치막 자락에 깃든 사연』(민속원, 2010)
『한국의식주생활사전』(국립민속박물관, 2017)

논문

금종숙, 「조선시대 중치막(中致莫)의 착용례와 형태 연구」(『복식문화연구』 22-5, 복식문화학회, 2014)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