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라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두라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대두도(大斗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1.01㎢
둘레
7.6㎞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두라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두라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두라리에 있는 섬이다. 돌산도와 금오도 사이에 위치하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구역에 속한다. 주위에 있는 소두라도·나발도·화태도·월호도 등과 함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이루고 있다. 60명의 주민들이 농업과 어업을 기반으로 살아가고 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두라리에 있는 섬.
내용

동경 127°73′, 북위 34°56′에 위치한다. 여수시 돌산도금오도(金鰲島)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금오도에서 북쪽으로 0.8㎞, 돌산도(突山島)에서 남쪽으로 3㎞ 지점에 있다. 면적은 1.01㎢이고, 해안선 길이는 7.6㎞이다. 지명은 섬의 생김새가 콩을 닮은 점에서 유래했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구역에 속하며, 주위에 있는 소두라도 · 나발도 · 화태도 · 월호도 등과 함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이루고 있다.

경사가 완만한 주1로 이루어져 있어 섬 전체에 농경지가 고루 분포한다. 해안은 대부분이 암석으로 이루어진 해안선을 형성하고 있다. 일부 남동해안의 만입부에 소규모 자갈 해안이 분포하고 있다. 지질은 중생대 주2주3 및 안산암질 주4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식생은 큰둘산(109.9m)를 중심으로 곰솔 군락이 분포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동백나무를 비롯한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고 있다. 기온은 겨울인 1월은 평균 2.1℃, 여름인 8월은 평균 24.8℃이고, 연 강수량은 1,247㎜이다.

1670년경 서씨(徐氏)가 들어온 뒤 장씨(張氏) · 김씨(金氏)가 차례로 들어와 촌락을 이루게 되었다고 전해 온다. 마을은 대두마을과 봉통마을 두 곳이 형성되어 있다. 민속문화로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마을 주민들의 안녕과 풍년 · 풍어를 기원하는 당제(堂祭)를 모시는 풍습이 전해 온다.

현황

2023년 9월 기준으로 인구는 60명(남 31명, 여 2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33세대이다. 취락은 주로 동쪽 해안과 구릉지 주변에 분포한다. 주민의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그밖에는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고구마 · 감자 · 보리 · 무 등이며, 이 외에도 쌀 · 콩 · 마늘 등도 약간 생산된다. 연근해 일대에서는 주로 멸치 · 갈치 · 낙지 등이 잡히며, 자연산 전복이 채취되고 김 · 홍합 등이 양식된다. 주요 시설로 두라 보건 진료소, 대두라도 선착장, 인금 방파제 · 벌통 방파제 · 선창 방파제 등이 있다. 교통은 여수 돌산 군내항에서 여객선이 다니고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화태초등학교 두라분교장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문화유적분포지도-전남 여수시』 (순천대학교박물관, 2003)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여수시 도서 지역 무형 문화유산 Ⅲ』 (여수지역사회연구소, 2015)
『전남의 섬』 (도서문화연구원, 2016)
『한국의 섬-여수시·광양시』 (이어도, 2021)
『제25회 여수통계연보』 (여수시, 2022)
주석
주1

평지와 산지의 중간 성격을 가지는, 별로 높지 않은 언덕들이 있는 땅. 우리말샘

주2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3

사장석, 각섬석, 흑운모, 휘석 따위로 이루어진 화성암. 검은 회색을 띠며, 단단하고 견디는 힘이 강하여 건축이나 토목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4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