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호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다리도
지명/자연지명
면적
1.92㎢
둘레
7.88㎞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월호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에 있는 섬이다. 여수반도의 남쪽에 위치한 면적 1.92㎢의 도서로 섬 중앙의 월호항과 돌산도 군내 선착장 간에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중앙부 저지대를 중심으로 약 200여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대부분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에 있는 섬.
개설

동경 127°59′, 북위 34°26′에 위치하며, 여수반도 남쪽 끝에서 동남쪽으로 8.3㎞ 지점에 있다. 면적은 1.92㎢이고, 해안선 길이는 7.88㎞이다.

명칭 유래

마을 앞 해안이 반달형의 호수와 같다 하여 월호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는 개도 동쪽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섬이라 하여 다리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연환경

여수반도에서 돌산도, 금오도 방향으로 남북으로 늘어서 있는 섬의 하나이다. 화태도, 대두라도, 개도, 자봉도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지질은 대부분 중성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섬은 완만한 경사의 구릉지를 이루며 가장 높은 산으로는 섬의 북서쪽에 길마산(해발 153.9m)가 있다. 해안에는 만(灣)곶(串)이 교대로 나타난다. 대부분 사빈 주1을 이루지만 서쪽에는 암석 주2이 형성되어 있다. 여수 지역의 30년 평균(1991년∼2020년) 기후 자료에 따르면, 평균 기온은 14.6℃, 연 강수량 1,449.1㎜, 1월 평균 기온 2.8℃, 8월 평균 기온 26.0℃이다.

형성 및 변천

1896년에 돌산군 화개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에 여수군 화정면에 편입되었다. 1998년에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로 개편되었다.

현황

2009년 2월 기준으로 인구는 229명(남 108명, 여 12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95세대이다. 취락은 섬 중앙부에 형성된 남북 방향의 저지대에 집중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0.04㎢, 밭 0.58㎢, 임야 1.18㎢이다. 주민들은 농업과 어업 겸업에 종사한다. 주요 농산물은 맥주 보리와 고구마이고, 쌀 · 무 · 콩 등이 약간 생산된다. 주요 어획물은 연근해에서 잡히는 우럭 · 장어 · 멸치 · 문어 등이며, 김과 굴 양식이 활발하다. 특산품으로는 김이 유명하다.

매년 음력 3월 3일에 마을의 무사안일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낸다. 교통은 돌산 군내 선착장에서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교육 기관으로는 화태초등학교 월호분교장이 있다. 섬 내 공공시설로는 월호항과 월호보건진료소가 있다. 월호항에서는 인접한 화태도의 독정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배편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여수시사』 (여수시, 2011)
『제22회 여수통계연보』 (여수시, 2020)

인터넷 자료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
디지털여수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yeosu)
주석
주1

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바닷가에 형성되며, 이 뒤로는 해안 사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2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