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청년회 ()

불교
단체
일제강점기, 민족의 각성과 독립 쟁취를 목표로 창립된 조선불교청년회의 후신.
단체
설립 시기
1920년 6월 20일
설립자
31개 본산 대표자와 중앙학림(中央學林)
설립지
서울시 종로구 수송동 각황사(현 조계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우정국로 67 전법회관 401호 대한불교청년회
전신
조선불교청년회
발간지
청년불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한불교청년회는 1920년에 창립된 불교 신행 단체이자 민족 운동 단체이며 청년 운동 단체인 조선불교청년회의 후신이다. 대한민국 청년불교신도로 구성된 전국 규모의 불교단체로 불교 교단의 현안뿐 아니라 사회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키워드
정의
일제강점기, 민족의 각성과 독립 쟁취를 목표로 창립된 조선불교청년회의 후신.
설립 목적

1919년 3·1운동 이후 조선불교의 31본산 대표자와 중앙학림(中央學林) 학생들이 모여 조선불교를 일제에 예속시키려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불교를 통한 민족의 각성, 조국 광복과 독립을 쟁취하자’는 만해 한용운(韓龍雲)의 뜻을 받들어 1920년 6월 20일 각황사(覺皇寺)에서 31명의 대표 간사를 선출하고 조선불교청년회를 창립한 것이 대한불교청년회의 시작이다. 현재 대한불교청년회는 ‘배달민족의 정기를 이어받은 우리 불교청년들은 불타의 숭고한 가르침을 바탕으로 심신 계발과 사회 정화에 선도적 역할을 하며 구국홍포로서 근세불교의 금자탑을 이룩한 선배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젊은 불자의 기백과 용기와 지혜로써 불법을 수호하는 전법도생으로 정토건설에 몸 바친다. 민족 분단의 아픔을 해결할 역사적 사명과 책임을 인식하고, 통일 성업을 위하여 앞장설 것을 삼보전에 엄숙히 서원한다’를 헌장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하나, 우리는 부처님의 정각을 이루어 참다운 인간이 된다’. ‘하나, 우리는 부처님의 정법을 받들어 올바른 사회를 만든다’. ‘하나, 우리는 부처님의 정도를 지키고 실천하여 인류를 구제한다’를 강령으로 하고 있다.

변천 및 현황

1927년 전민족적 통일전선체인 신간회(新幹會) 결성에 맞춰 조선불교청년회는 조선불교청년동맹(朝鮮佛敎靑年同盟)으로 조직을 개편하고, 신간회 경성지회장인 한용운의 지도 아래 회원의 상당수가 신간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1930년대 일제가 중국을 침략하면서 국내의 민족 독립 세력에 대한 탄압을 한층 강화하자 모든 항일운동이 지하로 잠복하게 되는데, 불교계에서도 일제의 식민 통치에 항거하는 비밀 결사 조직인 만당(卍黨)을 결성하고 조선불교청년동맹은 만당의 지도 아래 활동을 이어갔다. 1938년에 김법린 등 핵심 당원들이 검거되면서 조선불교청년회 역시 1945년 해방이 될 때까지 실질적 활동이 중단된다.

해방 이후 1948년 11월에 김법린 등이 조선불교청년회를 재건하였으며, 1962년 6월 20일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에 대한불교청년회로 명칭을 변경하여 종교단체로 등록하고 조직 활동을 활성화하였다. 1998년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사단법인 대한불교청년회를 인가받았다. 2023년 현재, 중앙임원은 회장단(중앙회장과 중앙부회장), 위촉 이사, 교육연수원장, 특별위원회(선관위원장, 만해백일장위원장, 통일위원장, 상훈위원장, 청소년위원장, 국제위원장, 여성위원장, 종교평화위원장, 자원봉사센터장, 포교위원장, 문화포교위원장), 상무위원(사무총장, 재정실장, 조직팀장)으로 구성된다. 지도단은 총재(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상임 부총재(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장), 부총재, 고문단, 지도법사단, 지도위원단, 자문위원단으로 구성된다. 서울불교 청년회와 조계사 청년회 등 2개 직할 청년회와 서울, 부산,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경상북도, 강원도, 울산 · 경상남도, 대구, 제주도(현, 제주특별자치도) 등 10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으로는 만해백일장과 만해다례재 등의 만해기념사업을 하고 있다.

주요 활동

대한불교청년회는 1970년 창립 50주년 기념 행사로 한용운 초대 회장 추모 강연회를 개최하였으며, 그의 불교 유신 정신을 받들어 팔만대장경을 축약 · 번역한 『팔만대장경』 한글판 단행본을 간행하였다. 1979년 3·1절을 맞아 전국만해백일장과 전국찬불가경연대회를 개최하였고, 같은 해 한용운 스님 탄신 10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제1차 전국불교청년대회를 조계사(曹溪寺)에서 개최하였다. 1991년 소련불교전법 250주년 기념 행사에 한국 대표로 참석, 북한의 조선불교도연맹(朝鮮佛敎徒聯盟) 대표단과 만나 조국의 평화적 통일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남북불교교류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1994년 대한불교조계종 3.29·4.10법난 대책위를 구성하고 구종법회에 참여하였다. 1995년 1월 월간 『청년불교』를 창간하였다. 2001년 5월 대한불교청년회 중앙회 및 만해교육원(종로구 수송동 46-18 수성빌딩 1층)을 이전 개원하였다.

2005년 1월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민족 공동 행사에 남측준비위원회 청년학생본부 상임대표단체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5월 남북청년학생단체 대표자 회의(개성)에 참석하였다. 2007년 2월 금강산 통일 기행을 하였다. 2009년 12월 라오스의 싸이냐부리주 일대에서 국제자원봉사 “싸바이디~! 라오스”를 진행하면서 의료 봉사, 청소년 활동 봉사, 환경 개선 봉사, 구호 물품 전달 등을 하였다. 동년 12월 연꽃 생활소비자 협동조합 창립총회(2010.01.21. 인가)를 가졌다. 2011년 9월 ‘대장경 간행 천년의 해 기념’ 『우리말 팔만대장경』 개정하여 신편을 간행하였다. 같은 해 10월 대한불교청년회 주최의 ‘전국만해백일장’ 만해대상이 대통령상으로 격상되었다. 2016년 3월 위안부 문제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기도 법회를 봉행하였다. 2019년 4월 행정안전부 사찰문회해설사 사업교육을 하였다. 같은 해 8월 일본 아베정권의 화이트리스트 한국 배제 규탄 긴급 기자 회견을 하였다. 2020년 2월 창립 100주년 기념 작은 음악회를 개최하였다. 같은 해 3월 창립 100주년 기념 ‘만해스님의 발자취 따라가기’ 행사를 봉행하였다. 같은 해, 같은 달 신종 코로나 피해지역 물품 지원을 하였다. 동년 6월 20일 창립 100주년 기념식을 봉행하였다. 같은 해 7월 5일 만해청년회 창립1주년 기념 법회를 봉행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병철, 『2018년 한국의 종교현황』 (문화체육관광부, 2018)

인터넷 자료

대한불교청년회(http://www.kyba.org/)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