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

목차
고대사
제도
고구려의 관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구려의 관등.
개설

대형(大兄)은 3세기 말부터 고구려 관등의 하나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구려의 집권 체제가 강화되며 3세기 말 이후 등장한 형계 관등의 중심축이다. 대형은 태대형(太大兄), 조의두대형(皁衣頭大兄) 등으로 다양하게 분화하며 멸망기까지 고구려 관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내용

대형은 고구려 중, 후기 관제의 주요 관등 중 하나이다. 그 명칭이 고구려 초기의 관제를 전하는 『삼국지(三國志)』에는 보이지 않으나, 『삼국사기』에 의하면 3세기 말엽에는 등장하고 있다. 이것은 4세기 이후 고구려는 왕권에 의한 집권화가 진전되며 이전까지 나부(那部) 제가들이 차지하였던 패자(沛者), 우태(于台) 등의 관등이 소멸되고 이를 대신하여 형계 관등이 새로이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원(翰苑)』에는 대형의 별칭을 힐지(襭支)로 전하고 있어, 대형이 고구려 고유어로 힐지로 불리었음을 알 수 있다.

사료상 최초로 확인되는 대형의 사례는 봉상왕대 소형(小兄)에서 대형으로 승진한 고노자(高奴子)이다. 그리고 「모두루묘지(牟頭婁墓誌)」에서도 고국원왕대 활동한 대형 염모(冉牟)의 존재가 확인되고 있다. ‘형(兄)’이란 명칭은 연장자·족장의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그 연원을 제가 세력을 재편한 것에서 찾을 수 있으나, 일원적 관등체계 내에 편제된 것이므로 이전의 패자, 우태 등과는 성격이 다르다.

4세기 고구려 관제에 대해서는 자료가 없어 구체적으로 알기 어렵다. 『위서(魏書)』고구려전에는 간략하게 알사(謁奢)·태사(太奢)·대형·소형 등 4관등의 명칭만 기록하고 있으나, 5세기 초에는 이미 대형의 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온다. 초기 관등제에서 중기 관등제로의 변화 가운데서 대형은 상위 관등과 하위 관등의 분기점에 위치하며 다양하게 분화하였던 것이다.

대형은 후기 관등제에서도 보이는데, 『주서(周書)』에는 전체 13관등 중 대형이 3위로 기록되어 있고 여기서 상향 분화한 태대형은 2위로 나온다. 『수서(隋書)』에는 대형이 12관등 중 2위로, 태대형은 1위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7세기 상황을 전하는 『신당서(新唐書)』는 대형이 전체 12관등 중 6위로, 상향 분화한 조의두대형이 4위로 나온다. 그리고 『한원』에는 대형이 전체 14관등 중 7위로, 상향 분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태대형은 2위, 조의두대형은 5위로 기록되어 있다. 대형이 고구려 중, 후기 관등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주서(周書)』
『수서(隋書)』
『신당서(新唐書)』
「모두루묘지(牟頭婁墓誌)」
『고구려초기정치사연구』(여호규, 신서원, 2014)
『고구려정치사연구』(임기환, 한나래, 2004)
『고구려사연구』(노태돈, 사계절, 1999)
『한국 고대사회 연구』(김철준, 지식산업사, 1975)
「고구려 초기 관등의 기원과 성격에 대하여」(조영광, 『사학연구』 119, 201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