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지

김유정의 따라지
김유정의 따라지
현대문학
작품
김유정(金裕貞)이 지은 단편소설.
정의
김유정(金裕貞)이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37년 2월『조광(朝光)』 3권 2호에 발표되었고, 1938년에 간행된 단편집 『동백꽃』에 수록되었다. 도시 빈민을 소재로 한 작품의 하나로서, 1930년 둘째 누이 김유형에게 기식(寄食)하며 살았던 사직동 시절의 경험이 그대로 작품화된 것이다.

내용

이야기는 어느 화창한 봄날 사직동 꼭대기에 올라붙은 초가집, 방세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주인마누라의 푸념으로부터 시작된다.

오늘은 반드시 받아 내리라 결심하고는 버스차장 딸에게 붙어 사는, 영양실조로 얼굴이 뜬 ‘노랑퉁이’ 영감에게 집세를 재촉하지만, 앓는 소리와 호통으로 물러나온다. 그 뒤, 카페에 나가는 ‘아끼꼬’에게로 화살을 돌리나 늘 그렇듯이 역습 당하기만 한다.

결국 가장 만만한 ‘톨스토이’(별명)에게 방세를 받아내려고 조카를 불러다 짐을 들어내게 한다. 그러나 신경질적인 누이에게 기식한다고 들볶임을 당하며 방구석에 앉아 늘 글만 쓰고 있는 톨스토이에게 연민의 정을 느껴왔던 아끼꼬가 사이에 끼어들어 그들을 몰아세운다.

거기다가 노랑퉁이 영감까지 지팡이를 휘둘러 사태가 역전된다. 주인마누라는 파출소 순경을 불러대지만, 이미 평상시로 되돌아가 있는 집안을 본 순경에게 애매한 비난만 듣고 만다. 또 당한 것에 분해하는 주인마누라의 요청대로 아끼꼬는 순경에게 호출되지만, 항상 그랬듯이 그녀는 주인마누라에게 보복할 생각을 하며 별일 없이 돌아온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셋방살이하는 여러 유형의 가난한 인물들을 동시에 희화적으로 보여준 웃음의 문학이다. 이 웃음 속에는 도회 변두리에서 허덕이는 최하층의 삶의 슬픔과 고달픔이 반어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기지에 가득 찬 필치와 이죽거리는 야유의 정신이 살아 움직이고, 인물의 말씨, 동작, 심리의 미세한 동향까지 세밀히 포착되어 생동감이 넘친다.

방세를 받으려는 주인의 음모와 이것을 연기하려는 셋방 사람들 사이의 갈등을 각 인물의 시점으로 골계적으로 묘사하여, 김유정 문학의 특징인 골계와 해학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또한 사실주의 문학정신에 입각한 개성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우리시대의 작가와 모순의 미학』(신동욱, 개문사, 1982)
「김유정의 소설연구」(김영화, 『국문학논문선』10, 민중서관, 1977)
「김유정(金裕貞)의 예술(藝術)과 그 인간비밀(人間祕密)」(김문집, 『조광』, 193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동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