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석거 ()

목차
관련 정보
만석거
만석거
산업
유적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축조된 저수지.
목차
정의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축조된 저수지.
내용

수원시 북문 밖 공설운동장 북쪽에 위치하며, 수원지방에서는 조기정방죽, 조귀정방죽, 조개정방죽, 일왕저수지, 북지라고도 불린다. 1795년(정조 19) 정조 때 축조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주1으로 이용되고 있다. 길이는 387m, 높이는 4.8m, 저수면적은 24.7㏊, 주2은 82.2㏊, 평균수심은 1.8m이다.

정조는 수원화성을 축성하면서 이 성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네 개의 저수지를 축조하였는데, 북쪽에 조성한 것이 만석거(萬石渠)이다. 1794년(정조 18) 극심한 가뭄이 들자, 정조는 화성 공사를 중지하고 가뭄에 대비한 구휼대책과 농가의 이로움, 수원화성 운영 재원마련을 위해 만석거를 조성하였다.

만석거는 당대 최신식 수문과 주3을 설치하였으며, 여기에 모인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하여 대규모 농장인 대유둔[北屯]을 설치하여 풍요로움을 누리고자 했다. 저수지 가운데는 작은 섬을 두어 꽃과 나무를 조화롭게 심었고 호수에는 연꽃을 심었으며, 호수남단의 약간 높은 곳에는 영화정(迎華亭)을 세워 만석거 부근을 조망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만석거는 예로부터 농업용수로 중요하게 사용되었고, 주변 경관 또한 아름다워 누렇게 익은 벼가 황금물결을 이루는 풍경은 ‘석거황운’(石渠黃雲)이라 하여 수원 추팔경 중의 하나로 손꼽혔다.

한편 동쪽, 지금의 수원시 지동에 축조한 저수지는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1798년(정조 22) 남쪽에 축조한 것이 주4 묘역인 화산(花山) 주5 앞의 만년제(萬年堤)이고, 1799년(정조 23) 서쪽에 축조한 것이 수원시 서둔동의 축만제(祝萬堤, 西湖)이다. 이 저수지들은 수원성[華城]을 수축하면서 장용위(壯勇衛)를 설치하게 되자 사관병졸들의 급료나 기타의 경비에 충당하기 위한 화성둔전(華城屯田)에 물을 대려고 판 것이었다.

만석거는 1997년 주6 조성으로 저수지의 일부가 매립되어 원래의 규모보다는 많이 축소되었지만, 현재는 만석공원으로서 시민들의 쉼터로 이용되고 있다. 만석거는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10월 멕시코에서 열린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제68차 집행위원회에서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참고문헌

『수원의 역사, 수원의 문화재』(수원시, 2016)
『토지개량사업이십년사』(토지개량조합연합회, 1967)
주석
주1

용수의 근원지. 우리말샘

주2

논밭 따위가 저수지, 보, 양수장과 같은 관개 시설에 의하여 물을 받게 되는 면적. 우리말샘

주3

물의 흐름을 막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한 문. 우리말샘

주4

영조의 둘째 아들(1735~1762). 이름은 선(愃). 자는 윤관(允寬). 호는 의재(毅齋). 영조와의 갈등으로 세자에서 폐위되어 서인으로 강등되었고, 영조의 명으로 뒤주 속에 갇혀 굶어 죽었다. 이후 영조가 아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내린 시호가 ‘사도(思悼)’이며, 정조가 다시 ‘장헌 세자(莊獻世子)’로 시호를 바꾸었다. 우리말샘

주5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사도 세자의 묘. 정조 때 영우원을 고친 것으로, 후에 사도 세자를 장조로 추존(追尊)하고부터 ‘융릉’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6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공원. 만석거(萬石渠) 저수지를 중심으로 조성되었으며,1998년에 개원하였다. 공원 내에는 수원 미술관, 야외 음악당을 비롯하여 시민 휴게 시설이 있고,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축구장 따위의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인근에 수원 월드컵 경기장, 수원 성곽, 한국 민속촌 등이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