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왕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제18대 현종의 왕비.
이칭
시호
현렬희인정헌문덕명성왕후(顯烈禧仁貞獻文德明聖王后)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642년(인조 20)
사망 연도
1683년(숙종 9)
본관
청풍(淸風)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명성왕후는 조선 후기 제18대 현종의 왕비이며, 숙종의 어머니이다. 며느리 인경왕후가 사망하자 신하들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7개월 만에 계비 인현왕후를 맞아들였으며, 당시 숙종의 은총을 받던 궁녀 장씨[희빈 장씨]를 경계하여 궁궐 밖으로 내보내는 등 대비로서의 역할을 확실히 하였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 제18대 현종의 왕비.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청풍(淸風). 서울 중부 장통방(長通坊)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영돈녕부사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 김우명(金佑明), 어머니는 덕은부부인(德恩府夫人) 은진송씨이다. 명선, 명혜, 명안공주가 있었으나 명선, 명혜공주는 어려서 죽고, 명안공주는 해창위(海昌尉) 오태주(吳泰周)에게 출가하였다.

주요 활동

1651년(효종 2) 세자빈에 책봉되어 어의동 본궁(於義洞本宮)에서 가례를 올렸다. 8년간 세자빈으로 생활하고, 1659년(현종 즉위년) 왕비에 책봉되었다. 적극적인 성격으로 때로 조정의 일에 깊이 관여하였다.

1675년 숙종 즉위 초에 인평대군의 세 아들인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 삼형제가 궁녀를 간통하였다는 사실을 눈물로 알려 ‘ 홍수의 변(紅袖之變)’이 일어났다. 숙종은 삼형제를 유배 보냈으나 얼마되지 않아 풀어주었다. 그러나 5년 후 이 사건 처벌에 대한 서인남인의 입장 차이로 경신환국이 일어나게 되었다.

1680년 10월 며느리 인경왕후가 사망하자 신하들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국가를 튼튼히 한다는 명목으로 7개월 만에 계비 인현왕후를 맞아들였다. 또한 당시 숙종의 총애를 받던 궁녀 장씨[희빈 장씨]를 경계하여 궁궐 밖으로 내보내는 등 대비로서의 역할을 확실히 하였다.

1683년 10월 숙종이 두창을 앓을 때 쾌유를 기원하며 날마다 찬물로 재계(齋戒)를 하였는데, 이것이 병이 되어 결국 그해 12월에 창경궁의 저승전(儲承殿)에서 4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송시열의 지문에 의하면 죽기 전에 ‘초상부터 묻을 때까지 쓸 제구를 내가 다 만들었으니, 다시 유사(有司)를 번거롭히지 말고, 중외에서 진향하는 것도 다 멈추고, 아침 · 저녁 궤전(饋奠)의 그릇 수도 모두 태반을 줄이게 하라.’는 절약의 명을 내렸고, 숙종이 이를 잘 따랐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현렬희인정헌문덕명성왕후(顯烈禧仁貞獻文德明聖王后)이다. 능호는 숭릉(崇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경내에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선원계보(璿源系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현종실록(顯宗實錄)』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