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목왕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제14대 선조의 계비.
이칭
봉호
인목대비
시호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仁穆王后)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584(선조 17)
사망 연도
1632(인조 10)
본관
연안(延安)
주요 저서
보문경(普門經)
주요 작품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주요 관직
인목대비
관련 사건
계축옥사(癸丑獄事)|인조반정
내용 요약

인목왕후는 조선시대, 제14대 선조의 계비이다.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과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노씨의 딸이다. 1602년(선조 35) 15세에 선조의 계비가 되고 1603년에 정명공주(貞明公主)를,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았다.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로 영창대군이 유배되어 죽었고 본인은 폐위되어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 인조반정으로 복권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제14대 선조의 계비.
주요활동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과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노씨의 딸이다.

1602년(선조 35)에 15세의 나이로 선조주1가 되어 1603년에 정명공주(貞明公主)를, 1606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낳았다. 선조가 사망한 후 대비로서 언문 교지를 내려 광해군이 즉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613년(광해 5)에 7명의 서자가 영창대군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계축옥사로 영창대군은 유배되었다가 살해되고, 아버지 김제남과 형제들도 사사되었다. 인목왕후는 주2가 되어 정명공주와 함께 서궁에 갇혔다. 인목왕후가 서궁에 유폐된 정경은 주3에 일기체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인목왕후 주4주5는 광해군에게 폐륜이라는 올가미로 작용하여 결국 10년 후 인조반정의 명분이 되었다. 서궁 생활 10년이 된 1623년 3월 13일 밤 인조가 반정을 끝내고 신하를 보내 즉위 승인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인목왕후는 즉시 응하지 않았다. 이에 인조가 직접 서궁으로 가서 승인을 간청하자 비로소 광해군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약속받고 주6를 내주었다. 이 때문에 주7이 늦어지자 인목왕후는 직접 인조를 서궁에서 즉위하게 하였다. 인조의 즉위가 창덕궁이 아닌 서궁에서 이루어진 것은 인목왕후의 의지적 대비권 행사로 인한 것이었다.

대왕대비로 복권된 후 가끔 국정에 관심을 표명하여 한글로 교서를 내리기도 하였다. 해서체로 쓴 족자인 「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와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 친필로 쓴 『보문경(普門經)』의 일부가 전하고, 인목왕후필적(仁穆王后筆跡) 첩(帖)이 남아 있다. 계축옥사와 서궁 생활을 기록한 작자 미상의 『계축일기』가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소성정의명렬광숙장정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光淑莊定仁穆王后)이고, 능호는 목릉(穆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계축일기(癸丑日記)』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단행본

지두환, 『광해군과 친인척』(역사문화, 2002)
주석
주1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    우리말샘

주2

왕이 왕대비를 그 자리에서 물러나게 함.    우리말샘

주3

조선 광해군 때에, 궁녀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수필. 광해군 5년(1613)에 광해군이 어린 아우 영창 대군을 죽이고 영창 대군의 어머니 인목 대비를 서궁에 가두었을 때의 정경을 일기체로 적었다. ≪인현왕후전≫, ≪한중록≫과 더불어 궁중 문학의 대표적 작품이다.    우리말샘

주4

왕이나 왕비 등의 자리를 폐함.    우리말샘

주5

아주 깊숙이 가두어 둠.    우리말샘

주6

국권의 상징으로 국가적 문서에 사용하던 임금의 도장.    우리말샘

주7

임금 자리에 오르는 것을 백성과 조상에게 알리기 위하여 치르는 의식.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