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경집 ()

임실 신흥사
임실 신흥사
불교
문헌
조선 후기, 정관파 승려 무경 자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개판한 시문집.
이칭
이칭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38년(영조 14)
간행 시기
1738년
저자
무경 자수(無竟子秀)
편자
자간(慈侃)
권책수
3권 3책
권수제
무경집(無竟集), 무경집문고(無竟集文稿)
판본
목판본
표제
무경집, 무경집문고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무경집(無竟集)』은 조선후기 정관파 승려 무경 자수(無竟子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개판한 시문집이다. 권1에는 시, 권2와 권3에는 문을 수록했는데 「도학설(道學說)」, 「시비설(是非說)」, 「삼교설(三敎說)」 등 중요한 사상적 내용을 담은 기문이 많다.

정의
조선 후기, 정관파 승려 무경 자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8년에 개판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무경 자수(1664~1737)는 정관(靜觀)파 추계 유문(秋溪有文, 1614∼1689)의 제자이다. 자수는 남양(南陽) 홍(洪)씨로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 출신이다. 운문사(雲門寺) 추계 유문의 아래에서 공부하여 과 교는 물론 유교와 노장에까지 정통했다. 30세에 내원암(內院庵)에서 강석(講席)을 열었고 74세로 입적하였다. 유문과 자수 두 사제의 탑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 종남산 송광사(松廣寺)에 세워졌다. 자수는 선교일치(禪敎一致)와 삼교회통(三敎會通)을 주장하였고, 저술로는 『무경집(無竟集)』 외에도 『무경실중어록(無竟室中語錄)』이 있다.

서지사항

『무경집』은 3권 3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판본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무경집』은 자수의 제자 자간(慈侃)이 스승의 유고(遺稿)를 모아 1738년(영조14)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임실의 사자산 신흥사(新興寺)에서 개판하였다.

구성과 내용

『무경집』은 3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권1에 시(詩), 권2와 권3에 문(文)을 수록하였다. 책의 첫머리에는 오광운(吳光運) · 관물거사(觀物居士) · 윤현동(尹顯東)의 서(序)가 나온다.

권1에는 오언 고시(五言古詩) 5편, 칠언 고시(七言古詩) 4편, 잡저(雜著) 11편, 오언 절구(五言絕句) 근체(近體) 27편, 오언 절구 변체(變體) 4편, 칠언 절구(七言絕句) 근체 54편, 칠언 절구 변체 14편, 오언 율시(五言律詩) 근체 30편, 오언 율시 변체 12편, 칠언 율시(七言律詩) 56편, 칠언 율시 변체 2편 등 다양한 형식의 시가 실려 있다. 시를 주고받은 대상도 승속(僧俗)을 아우르고 있다.

권2에는 문 37편이 실려 있는데, 사자산 광수암(廣修庵)을 시작으로 모악산 은선암(隱仙庵), 운주산 용장사(龍藏寺) 등의 중창 불사(佛舍) 및 사적(史跡, 史蹟)을 기록한 기문(記文) 11편, 부모와 제자 등을 위한 제문 4편, 도학설(道學說), 수선설(修善說), 시비설(是非說), 성정설(性情說), 삼교설(三敎說)의 설문(說文) 5편, 『백곡집(白谷集)』 등의 서문(序文) 2편, 편지글 5편, 사(詞)표(表) 각 1편, 계(啓) 4편, 모악산 귀신사(歸信寺) · 종남산 송광사(松廣寺) · 임실 신흥사(新興寺) · 모악산 금산사(金山寺)의 사적사(事蹟詞) 등이 수록되어 있다.

「도학설」에서는 바른 스승을 만나 심법(心法)의 묘리(妙理)를 전수받는 것의 중요성을 말했고, 「수선설」에서는 감정과 사리사욕을 따르면 자기에게 이로울 것 같지만 결국에는 그렇지 않다는 주장을 드러냈다. 「시비설」은 세상 사람들이 옳고 그름을 말하지만 기준이 분명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 후, 과연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논리적으로 추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성정설」에서는 본성에 내재한 이치를 다하는 이가 성인이고 욕심과 정에 따르는 이가 중인(衆人)으로 천리(天理)의 성품을 회복할 것을 주장한다. 「삼교설」에서는 “리는 일원이며 이를 밝히는 것이 삼교”라고 하여 일원적 리를 따라 본성을 다하는 것을 삼교의 요체(要諦)로 보았다.

권3에는 왕축초(王祝草), 영산별초(靈山別草), 기도칠성사(祈禱七星詞)에 이어 소문(疏文) 1편, 만일사(萬日寺), 반룡사(盤龍寺), 용추사(龍湫寺) 등 6편의 사적사, 쌍계암(雙溪庵) 관련 상량문(上樑文) 1편, 제문 2편, 권선(勸善) 및 모연문(募緣文) 12편, 서문 1편, 기타 서간문(書簡文) 20여 편 등 50여 편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서 제자 회경(懷瓊)이 쓴 「무경대사행장(無竟大師行狀)」이 나오고, 책의 마지막에는 허채(許采)가 쓴 발문이 실려 있다.

의의 및 평가

『무경집』은 무경 자수의 생애와 사상이 담긴 시와 기문을 모은 책으로 조선 후기 유 · 불 관계와 당시 불교계가 본성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이다.

참고문헌

원전

『무경집(無竟集)』

단행본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신구문화사, 2010)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1)
무경 자수, 김재희 역, 『(한글본 한국불교전서-조선15) 무경집』(동국대학교 출판부, 2013)

논문

이대형, 「『무경집문고』의 변려문과 역사성-사적사(事蹟詞)를 중심으로-」(『열상고전연구』 62, 201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