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의금부도사, 예조좌랑, 연천현감, 영양현감, 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난사(鸞斯)
각정(角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8년(영조 4)
사망 연도
1805년(순조 5)
본관
밀양(密陽)
주요 관직
의금부도사|예조좌랑|연천현감|영양현감|장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도상은 조선 후기 의금부도사, 예조좌랑, 연천현감, 영양현감, 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770년(영조 46년) 영조가 주관한 구일제(九日製)에서 수석을 차지하였고, 다음해 식년 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797년(정조 21) 장령에 제수되었을 때 영양현감 시절 경험하였던 영남의 폐단을 10개의 조목으로 정리하여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시문에 능하여 영조와 정조가 문신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술(製述)에서 모두 수석을 차지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의금부도사, 예조좌랑, 연천현감, 영양현감, 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박도상(朴道翔)의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난사(鸞斯), 호는 각정(角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승지를 지낸 박신(朴紳)이고, 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을 지낸 박윤동(朴胤東)이다. 아버지는 박징(朴徵)인데, 후에 박윤동의 형 박종동(朴宗東)에게 입양되었다. 어머니는 진주강씨(晋州姜氏) 강현(姜鋧)의 딸이다. 한양조씨(漢陽趙氏) 조경(趙絅)의 증손인 조당(趙戇)의 딸과 혼인하였다.

주요 활동

1750년(영조 26) 식년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장녕전참봉(長寧殿參奉)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등을 지냈다. 1770년(영조 46년) 영조가 주관한 구일제(九日製)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직부전시(直赴殿試)의 자격을 얻었다.

다음해 식년 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고, 전적(典籍) · 예조좌랑 · 병조정랑 등에 제수되었다. 1775년(영조 51)과 1776년(정조 즉위년) 영조와 정조가 문신을 대상으로 시행한 제술(製述)에서 모두 수석을 차지하여 선물을 하사받았다.

이후 1779년(정조 3) 연천현감(漣川縣監), 1783년 운산군수(雲山郡守), 1792년 영양현감(英陽縣監) 등에 임명되어 지방관을 역임하였다. 1797년(정조 21) 장령에 제수된 박도상은 영양현감 시절 경험하였던 영남의 폐단을 10개의 조목으로 정리하여 상소를 올렸다.

그는 상소에서 "학술의 병통, 서원의 폐단, 향교의 낮은 비중, 과장(科場)의 폐단, 환향(還餉)의 폐단, 양역(良役)의 폐단, 호적의 폐단, 문교(文敎)의 쇠퇴, 무예의 등한시"를 사회문제로 꼽으며 ‘수령을 가려 임명할 것’ 등의 해결책을 논하였다.

1800년(정조 24) 참지를 역임하였고, 5년 뒤인 1805년(순조 5) 7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평가

시문에 능하였으며, 특히 변려문(駢儷文)과 제술(製述)에 뛰어난 재능이 있다고 평가받았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숭정3경오식년사마방목(崇禎三庚午式年司馬榜目)』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