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순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선종한과 함께 『감저신보』를 저술한 농학자.
이칭
인보(仁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안동(安東)
주요 저서
감저신보(甘藷新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장순은 조선 후기, 선종한과 함께 『감저신보』를 저술한 농학자이다. 김장순은 구황작물로서 고구마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전국적 보급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뜻을 함께하는 보성 출신 선종한의 도움으로 서울에서 고구마 재배에 성공하였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1813년(순조 13) 선종한과 함께 고구마 재배서인 『감저신보』를 편찬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선종한과 함께 『감저신보』를 저술한 농학자.
주요 활동

고구마는 1763년(영조 39) 통신사 조엄(趙儼)이 대마도에서 종자를 들여와 동래부에서 시험재배를 하면서 구황작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동래부사를 지낸 강필리(姜必履)는 고구마의 효용성을 주장한 이광려(李匡呂)의 뜻에 공감하였고, 그를 도와 1765년(영조 31) 고구마 재배에 성공하였다. 강필리는 형 강필교(姜必敎)와 함께 고구마 재배서인 『강씨감저보(姜氏甘藷譜)』를 저술하여 고구마 보급을 위해 노력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던 김장순(金長淳)은 호남에 거주할 때 고구마를 먹어 본 후 구황작물로서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전국적 보급에 크게 관심을 두었다. 9년간 전라남도 보성에서 고구마를 재배해 온 선종한(宣宗漢)은 서울에서 김장순과 만나 자신이 가져온 고구마를 건네며 시험재배에 도움을 주었고, 그해 가을 수확에 성공하였다.

1813년(순조 13) 김장순은 고구마의 증식과 전파를 위해 선종한과 함께 재배법을 정리하여 『감저신보(甘藷新譜)』를 편찬하였다. 특히 호남과 서울에서의 실제 재배 경험을 통해 남북 간의 기온 차이를 재배 방법에 반영하는 등 『강씨감저보』의 오류를 수정하며 더욱 실용적인 고구마 재배서를 완성하였다.

김장순의 『감저신보』는 『강씨감저보』와 함께 1834년 서유구(徐有榘)가 저술한 『종저보(種藷譜)』의 저본(底本) 역할을 하며 고구마가 전국적으로 재배되는 데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감저신보(甘藷新譜)』

단행본

김영진·이은웅, 『조선시대 농업과학기술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논문

오수경, 「일실된 『姜氏甘藷譜』에 대하여 -자료 소개 및 그 실학사적 의의」(『한국실학연구』 26, 한국실학학회, 2013)
손진태, 「甘藷傳播考」(『진단학보』 13, 진단학회, 194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