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예빈시주부, 경양찰방 등을 역임한 서얼 문사.
이칭
사원(士源)
춘주(春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9년(숙종 25)
사망 연도
1733년(영조 9)
본관
청풍(淸風)
주요 저서
춘주유고(春洲遺稿)
주요 관직
예빈시주부|경양찰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도수는 조선 후기 예빈시주부, 경양찰방 등을 역임한 서얼 문사이다. 청풍부원군 김우명(金佑明)의 서손(庶孫)으로 20대 초반 음직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를 거쳐 경양찰방(景陽察訪)·지례현감(知禮縣監) 등을 역임하였다. 어릴 적부터 시문에 재능을 보여 노론 명문가의 문사 및 중인과 서얼 문사들과 교유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예빈시주부, 경양찰방 등을 역임한 서얼 문사.
가계 및 인적 사항

김도수의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사원(士源), 호는 춘주(春洲)이다. 청풍부원군(淸風府院君) 김우명(金佑明)의 서손(庶孫)으로 아버지는 김석순(金錫順)이다.

주요 활동

김도수는 청풍김씨 가문의 명망에 힘입어 20대 초반 음직(蔭職)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 1721년(경종 1) 가인의(假引儀), 1722년 겸인의(兼引儀)에 제수되었다. 1725년(영조 1) 27세의 나이로 증광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이후 예빈시주부를 거쳐 1727년 경양찰방, 1731년 지례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관직 이후에는 춘천에 은거하였으며, 35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김도수는 13세부터 시를 배우기 시작하는 등 시문에 재능을 보였다. 김창흡(金昌翕)을 스승으로 모셨고, 이하곤(李夏坤)과 송상기(宋相琦) 등 노론 명문가의 문사들과 교유하였다. 또한 홍세태(洪世泰), 정래교(鄭來橋) 등의 중인뿐만 아니라, 이매(李梅) · 홍서기(洪敘箕) 등 서얼 문사들과 친하게 지내며 신분과 당색을 초월해 폭넓은 교유관계를 유지하였다.

학문과 저술

시문집으로 2권 1책의 『춘주유고(春洲遺稿)』가 전하는데, 권 1에 수록된 시가 모두 198편이다. 독서를 위해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생활하던 초년에 지은 시부터 1723년 금강산, 1727년 지리산, 가야산, 속리산, 화양동 일대를 유람할 때 지은 시들이 많다. 그 외에 북한산과 춘천에서 지낼 때 지은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시들은 서얼과 외척이라는 현실 속에서 고민하였던 김도수의 시대인식을 엿볼 수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성상원년을사증광별시사마방목(聖上元年乙巳增廣別試司馬榜目)』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춘주유고(春洲遺稿)』

논문

김근태, 「春洲 金道洙의 春川 幽居와 시세계」(『한문고전연구』 22, 한국한문고전학회, 2011)
김경숙, 「김도수 한시 연구: 외척과 서얼의 이중적 자아」(『한국한문학연구』 28, 한국한문학회,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