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巨濟) 반씨(潘氏)의 시조. 자는 군수(君秀), 호는 해려재(海旅齋).
1267년(원종 8)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이장용(李藏用)이 고려에 왔던 몽고의 사신 흑적(黑的)에게 글을 보내 일본과 통화(通和)하지 말 것을 청한 것이 문제가 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 때 그것을 고하지 않은 죄로 채운도(彩雲島)로 유배당할 뻔했는데 흑적의 만류로 무사하였다. 그리고 그 해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일본에 통화를 요구하는 몽고의 국서와 고려의 국서를 가지고 일본으로 갔다.
그러나 몽고의 국서 내용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반 년 이상 억류되었다가 답서를 받지 못하고 이듬해 돌아왔다. 이에 몽고는 일본이 통화를 거절하는 것을 의심하고 다시 추진을 촉구하였다.
따라서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신사전(申思佺), 시랑 진자후(陳子厚) 등과 함께 몽고 사신 흑적·은홍(殷弘) 등을 인도해 일본에 갔으나, 대마도에 이르러 입국하지 못하고 왜인 2명을 사로잡아 이듬 해 돌아와서 몽고에 보냈다.
1270년 비서승(祕書丞)이 된 그는 강화창(江華倉)을 풀어 군신(群臣)과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1274년에는 국자사업(國子司業)으로 서해도(西海道)에 가서 전함을 만들 공장(工匠)과 역도(役徒)를 징집했는데, 마침 원나라가 일본을 정벌하기 위해 전함 300척을 만들 것을 심히 독촉하던 중이었다.
그 해 지병마사(知兵馬事) 나유(羅裕)와 박보(朴保)의 부사(副使)가 되어 제1차 일본정벌에 참전해 이키섬[壹岐島]을 함락하고 북구주(北九州)를 치다가 태풍을 만나 배가 많이 부서져 되돌아왔다.
1281년(충렬왕 7) 좌사의(左司議)로 왕명을 받아 제2차 일본정벌에서 실패하고 돌아온 원나라의 원수 흔도(忻都)와 홍다구(洪茶丘)·범문호(范文虎) 등을 위로하였다. 1282년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로 국자감시(國子監試)의 시원(試員)이 되어 시부(詩賦)로 38인, 십운시(十韻詩)로 51인, 명경(明經) 2인을 뽑았다.
그리고 1284년에는 간의대부(諫議大夫)로 승보시(升補試)의 시원이 되어 시부와 경의(經義)로 33인을 뽑았다.
경상남도 거제의 문절사(文節祠)에 제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