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량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군부판서 · 첨의평리 · 흥례군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초명
박선(朴瑄)
봉호
부춘군(富春君), 흥례군(興禮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20년(충숙왕 7)
주요 관직
군부판서, 첨의평리, 흥례군
관련 사건
조비무고사건, 충선왕 유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경량은 고려 후기에 군부판서·첨의평리·흥례군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충선왕의 측근으로 출세한 고려 후기 인물이다. 노비 출신인 그는 조비로 인해 충선왕의 측근이 되어 그가 모함을 받았을 때 이를 저지하였다. 이런 공로로 특별하게 등용되었다. 조비 모함 사건 당시에는 원에 잡혀갔지만 이후 더욱 출세하였다. 충선왕의 심복으로 부춘군에 봉하였졌으며, 이후 충선왕이 귀양 가게 되었을 때 스스로 목숨을 저버렸다.

정의
고려 후기, 군부판서 · 첨의평리 · 흥례군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아버지는 각도의 주진(州鎭)에 두었던 군대 중 하나인 초군에 속한 관청의 종을 의미하는 초군노(抄軍奴)인 박녹대(朴祿大)이며, 충선왕비(忠宣王妃)인 조비(趙妃) 자매의 남편이다.

주요 활동

1298년(충렬왕 24) 세자인 충선왕(忠宣王)이 귀국하여 국왕이 되었는데, 부인 한국공주(韓國公主: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가 조비를 질투, 원(元)나라에 모함하였다. 당시 박경량(朴景亮)은 한국공주와 조비 사이에서 중재하려다가 얻어맞았으며, 이후 원이 조비를 징계할 때 함께 원나라에 잡혀가고 재산도 몰수되었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다.

충선왕은 다시 국왕이 되자 앞서 1303년(충렬왕 29) 자신이 모함을 받았을 때 이를 저지한 공으로 특별히 박경량을 등용하였다. 당시 일가친척까지 모두 양민(良民)이 되는 특혜를 베풀었다. 또한 권한공(權漢功)· 김지겸(金之兼) 등과 함께 국왕에게 가죽띠인 정대(鞓帶)를 받았다.

1310년(충선왕 2) 첨의평리(僉議評理)로서 왕을 따라 원나라에 갔다. 이때 충선왕은 원나라에 있으면서 전지(傳旨)로 정치를 하였다. 당시 연경(燕京)에 있던 김심(金深)·이사온(李思溫) 등은 왕이 오랫동안 원나라에 머물러 있는 것이 박경량· 최성지(崔誠之)·권한공 등의 심복 때문이라고 휘정원(徽政院)에 무고하여 투옥되었다가 풀려났다.

1312년(충선왕 4) 원나라가 충선왕에게 귀국을 명령하였다. 충선왕이 가지 않으려고 박경량에게 핑계를 대도록 하자, 농번기라서 추수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이유로 원에게 보고하여 귀국을 미루었다.

충선왕 때 부춘군(富春君)에 봉하여졌고, 충숙왕(忠肅王) 때 다시 흥례군(興禮君)에 봉하여졌다.

1320년(충숙왕 7) 상왕(上王: 충선왕)이 강남(江南)에 귀양가게 되자 수안군(遂安君) 이연송(李連松) 등과 함께 시종하였다. 일행이 금산사(金山寺)에 이르렀을 때 항상 충선왕을 모함하던 바얀투구스[伯顔禿古思]의 간계로 뒤쫓아 온 원나라 황제의 사자에 의하여 왕이 다시 소환되었다. 이 때에 충선왕이 무사하지 못할 것을 예측하고 시종하던 대부분의 신하들이 도망쳐 버리자 박경량은 이연송과 함께 약을 먹고 자살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이명미, 『13~14세기 고려·몽골 관계 연구』 (혜안, 201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