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문절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국자좨주(國子祭酒) ·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빈연(彬然)
담암(淡巖)
시호
문간(文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17년(고종 4)
사망 연도
1282년(충렬왕 8)
본관
남포(藍浦)
주요 작품
대사성유경양임시시원표(大司成柳璥讓監試試員表)
주요 관직
국학대사성
관련 사건
임연의 원종 폐위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문절은 고려 후기에 국자좨주, 보문각학사, 국학대사성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고려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주로 문장과 함께 절개를 가지고 활약한 인물이다. 벼슬은 한림원에서 시작하여 주로 문한직을 역임하였다. 특히 원종 폐위 사건에서 자신의 뜻을 국왕에게 관철하여 표문을 작성하였다. 이후 낭사 관리들과 함께 권세가 자제 임용에 반대하였다가 파면되기도 하였다. 또한 왕의 노여움으로 감옥에 갔던 심양 등을 석방하게 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국자좨주(國子祭酒) ·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남포(藍浦). 자(字)는 빈연(彬然), 호는 담암(淡巖). 신라(新羅) 때 간관(諫官) 백중학(白仲鶴)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좌복야(左僕射) 백경선(白景瑄)이며, 아들로는 백이정(白頤正), 백효주(白孝珠)이다. 이존비(李尊庇)의 외삼촌이다.

주요 활동

고종(高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원(翰林院)에서 벼슬하다가 중서사인(中書舍人)·이부시랑(吏部侍郎)·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였다. 1269년(원종 10)에 임연(林衍)에 의하여 폐위되었다가 복위한 원종(元宗)이 원(元)나라에 들어갈 때 표문(表文)을 지었다. 이때 왕은 임연이 두려워서 자신을 왕위에서 끌어내린 사실을 감추려고 병을 핑계로 왕위를 물려준 것이라고 표문에 쓰라고 하였다. 백문절(白文節)은 왕의 명령에 대해 붓을 놓고 울면서 간언(諫言)하여 왕을 깨닫게 하였고 사실대로 표문을 썼다.

1278년(충렬왕 4) 사의대부(司議大夫)로 공적이 없는 권세가(權勢家)의 자제들이 관직에 많이 임명되므로 당시 낭사(郞舍)의 다른 관리들과 같이 주1에 서명을 하지 않았다. 왕이 여러 차례 서명을 재촉하였으나 불응하였다. 그런데 왕은 이존비가 올리는 문서를 이와 관련 있다고 여겨 크게 화를 내었다. 이존비가 백문절을 비롯한 낭사를 도와준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왕은 백문절과 낭사 관리를 파면시키고 옥에 가두었다가 오해를 풀고 이들을 놓아주었다. 뒤에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가 되었다.

1280년(충렬왕 6) 왕에게 시정(時政)의 일을 말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귀양간 시사(侍史) 심양(沈諹) 등을 석방하게 하였으며, 그해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지공거(知貢擧) 원부(元傅)와 함께 진사(進士)를 뽑아 이백기(李伯琪) 등 33인을 급제하게 하였다.

백문절은 문장의 표현이 풍부하고 글씨를 잘 썼다. 또한 그는 평소 나태하고 옹졸한 듯하다는 평가를 들었지만, 임연이 일을 벌였을 때 비로소 지조와 절개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충청남도 보령(保寧)의 옥산사(玉山祠)에 제향(祭享)되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문선(東文選)』

단행본

김용선 편,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출판부, 2001)
주석
주1

조정에서 내리는 벼슬아치의 임명장.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