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남포(藍浦). 자는 빈연(彬然), 호는 담암(淡巖). 아버지는 좌복야(左僕射) 백경선(白景瑄)이며, 아들로는 백이정(白頤正)이 있다.
고종(高宗)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에서 벼슬하다가 중서사인(中書舍人) · 이부시랑(吏部侍郎) · 국자좨주(國子祭酒)를 역임하였다. 1269년(원종 10)에 임연(林衍)에 의하여 폐위되었다가 복위한 원종(元宗)이 원나라에 들어갈 때 표문(表文)을 지었다. 이때 왕이 임연을 두려워하여 폐립(廢立)의 사실을 감추고 거짓 병으로 왕위를 물려준 것으로 말하라 하자, 붓을 놓고 울면서 간(諫)함으로써 왕을 깨닫게 하여 사실대로 표문을 썼다.
1278년(충렬왕 4)에 사의대부(司議大夫)로서 공적이 없는 권세가의 자제들이 관직에 많이 임명되므로 고신(告身: 辭令書)에 서명을 하지 않자 왕이 여러 차례 서명을 재촉하였으나 불응하여 왕의 큰 노여움을 사서 옥에 갇혔다가 풀려났다. 뒤에 국학대사성(國學大司成) ·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가 되었다.
1280년에 왕에게 진언하여 시사(時事)를 말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귀양간 시사(侍史) 심양(沈諹) 등을 석방하게 하였으며, 그 해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지공거 원부(元傅)와 함께 진사(進士)를 뽑아 이백기(李伯琪) 등 33인을 급제하게 하였다.
백문절은 문사(文詞)가 풍부하고 글씨를 잘 썼다.
충청남도 보령(保寧)의 옥산사(玉山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