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사절을 접대하고 연회를 베푸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궁예는 904년(효공왕 8)에 나라 이름을 마진(摩震)으로 정하면서 연호를 무태(武泰)라고 하였는데, 이때 중앙에 광평성(廣評省)을 포함한 19개의 관부(官府)를 설치하였다. 이 가운데 5번째 관부였던 봉빈부(奉賓部)는 고려의 예빈성(禮賓省)처럼 빈객(賓客)에게 연회를 베푸는 일을 맡고 있었으며, 그 연원은 신라의 왜전(倭典) · 영객전(領客典) · 영객부(領客府) · 사빈부(司賓府)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예빈성이 921년(태조 4)에 설치된 사실을 고려하면, 봉빈부는 904년에 처음 설치되었다가 태봉 시기를 거쳐서 921년에 고려 태조가 예빈성으로 바꿀 때까지 존속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921년에 예빈성으로 바꾼 뒤 995년(성종 14)에 객성(客省)으로 고쳐졌다가 다시 예빈성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충선왕(忠宣王)이 1298년(충렬왕 24)에 즉위하면서 전객시(典客寺)로 바꾸었다가 중간에 예빈시(禮賓寺)로 바꾸었고, 1308년(충렬왕 34)에 복위하면서 다시 전객시로 바꾸었다.
그 뒤 공민왕(恭愍王) 때 예빈시로 고쳤다가 전객시로 고치기를 반복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에 다시 예빈시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래서 예빈시는 1392년(태조 1)에 조선 건국 후 관제를 개편한 이래로 1894년(고종 32)에 갑오개혁으로 폐지될 때까지 조선에서도 계속 존속되었다고 한다.
왜전 · 영객전 · 영객부 · 사빈부(신라) → 봉빈부(904) → 예빈성(921) → 객성(995) → 예빈성(?) → 전객시(1298) → 예빈시(?) → 전객시(1308) → 예빈시 · 전객시(공민왕) → 예빈시(1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