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지명
후삼국 시대에 궁예가 세운 나라의 이름.
이칭
이칭
후고구려, 태봉
지명/고지명
제정 시기
904년(효공왕 8)
폐지 시기
911년(효공왕 15)
내용 요약

마진은 후삼국 시대에 궁예가 세운 나라의 이름이다. 궁예는 901년에 고구려 계승 의식을 표방하면서 스스로 왕이라 칭하였고, 904년에 나라 이름을 마진으로 정하였다가 911년에 다시 나라 이름을 태봉(泰封)으로 바꾸었다. 궁예는 무태(武泰)라는 연호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으며, 중앙에 광평성(廣平省)을 중심으로 한 19개의 관부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정광(正匡) · 원보(元輔) · 대상(大相) 등과 같은 품직도 설치하였다.

목차
정의
후삼국 시대에 궁예가 세운 나라의 이름.
내용

궁예는 901년(효공왕 5)부터 본격적으로 신라에 적개심을 나타내고 고구려 계승 의식을 표방하면서 스스로 왕이라 칭하였는데, 『삼국유사(三國遺事)』 왕력(王曆)에는 이때 나라 이름을 ‘고려(高麗)’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904년(효공왕 8)에 나라 이름을 마진(摩震)으로 정하였다가 911년(효공왕 15)에 다시 태봉(泰封)으로 바꾸었다.

‘마진’은 범어(梵語)에서 크다[大]는 뜻을 가진 ‘마하(摩訶)’와 진인(秦人)이 거주하는 땅이라는 뜻의 ‘cinitana’를 음역한 ‘진단(震旦)’을 합성하여 만든 ‘마하진단’의 약칭이었다는 견해가 널리 통용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진단’은 본래 인도인이 중국을 지칭하던 말이었으나 점차 동방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마진은 주1을 뜻한다고 한다.

이와 달리, ‘마진’이라는 명칭에는 발해(渤海)의 국호가 주2이었다는 점을 근거로 궁예의 발해 수복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 역경(易經)』에 보이는 ‘제출어진(帝出於震)’에 주목하면서 위대한 황제 국가의 개국을 의미한다는 견해도 있다. 최근에는 ‘마진’이 ‘마니진단(摩尼震旦)’의 약칭이었다고 보면서, 여기에 동방정토(東方淨土)에 대한 궁예의 염원이 담겨 있다는 견해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궁예는 나라 이름을 마진으로 정하면서 무태(武泰)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앙에 광평성(廣平省)을 중심으로 병부(兵部) · 대룡부(大龍部) 등 19개의 관부를 설치하였고, 정광(正匡) · 원보(元輔) · 대상(大相) 등 9등급으로 구성된 품직도 설치하였다.

또한 궁예는 이때 청주인(靑州人) 1천 호(戶)를 철원(鐵圓)으로 옮기고 나서 이듬해인 905년(효공왕 9)에 주3에서 철원으로 도읍을 옮겼고 연호도 성책(聖冊)으로 고쳤다. 궁예는 이를 전후한 시기에 상주(尙州) 등 30여 주현(州縣)을 차지하였고, 공주 장군(公州將軍) 홍기(弘奇)와 평양 성주 장군(平壤城主將軍) 검용(黔用) 등의 항복을 받기도 하였다. 그는 이때 이미 신라를 주4할 뜻을 품을 정도로 자신감을 가졌다고 한다.

참고문헌

원전

『동사강목』
『삼국사기』
『삼국유사』

단행본

김용선, 『궁예의 나라 태봉-그 역사와 문화』(일조각, 2008)
이재범, 『후삼국시대 궁예정권 연구』(혜안, 2007)
조인성, 『태봉의 궁예정권』(푸른역사, 2007)
최규성, 『고려 태조 왕건 연구』(주류성, 2005)
이병도, 『국역 삼국사기』(을유문화사, 1977)

논문

이재범, 「국호 ‘마진’에 관하여」(『신라사학보』 48, 신라사학회, 2020)
서금석, 「궁예의 국도 선정과 국호 · 연호 제정의 성격」(『한국중세사연구』 42, 한국중세사학회, 2015)
박한설, 「궁예의 발해 수복의식」(『고구려연구』 13, 고구려발해학회, 2002)
정선용, 「궁예의 세력형성 과정과 도읍 선정」(『한국사연구』 97, 한국사연구회, 1997)
이병도, 「진단변」(『진단학보』 1, 진단학회, 1934)
주석
주1

고대에 주로 아시아 대륙과 지중해 연안에 존재하였던 국가를 통틀어 이르는 말. 고대 조선, 고대 중국, 고대 인도, 페르시아 제국, 페니키아, 수메르, 아시리아, 고대 이집트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2

698년 고구려의 유민 대조영이 동모산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713년에 발해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3

‘개성’의 옛 이름.    우리말샘

주4

남의 재물이나 다른 나라의 영토를 한데 아울러서 제 것으로 만듦.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