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넙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서넙게
지명/자연지명
면적
0.29㎢
둘레
5.4㎞
소재지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서넙도는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에 있는 섬이다. 서넙도는 보길도에서 북서쪽으로 3㎞, 넙도에서 서쪽으로 0.9㎞ 지점에 있다. 면적은 0.29㎢이고, 해안선 길이는 5.4㎞이다. 섬의 생김새가 게와 같다고 하여 ‘게도’ 또는 ‘기도(게의 사투리 ‘기’)’라 하였으며 넙도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서넙게’라 부르다가 ‘서넙도(西芿島)’라 하였다.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읍 방서리에 있는 섬.
개설

동경 126°30′, 북위 34°09′에 위치한다. 보길도(甫吉島)에서 북서쪽으로 3㎞, 넙도[芿島]에서 서쪽으로 0.9㎞ 지점에 있다. 면적은 0.29㎢이고, 해안선 길이는 5.4㎞이다.

명칭 유래

노화읍(盧花邑) 방서리(防西里)에 속한다. 17세기 중반에 인동 장씨(仁同張氏)가 처음 입주하여 고기를 잡으며 마을을 이루었다. 1883년 삼도진 설치로 넙도에 속하여 오다 1896년 완도군이 세워지면서 넙도면 서넙도로 분리되었다. 1916년 노화면 서리에 편입되었다. 1980년 노화면이 노화읍으로 승격되면서 노화읍 서리로 변경되었다. 섬의 생김새가 게와 같다고 하여 ‘게도’ 또는 ‘기도(게의 사투리 ‘기’)’라 하였으며 넙도의 서쪽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서넙게’라 부르다가 ‘서넙도(西芿島)’라 하였다.

자연환경

지질은 주로 편마암류로 형성되어 있다. 섬의 남쪽에는 논두래봉(최고 높이 157m)이 있고, 그 사이에 비교적 완만한 경사의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다. 동쪽 사면은 완만하여 농경지가 분포하고, 나머지 해안의 사면은 급경사를 이룬다. 해안은 대부분 암석 해안이고, 서쪽 해안 일대에는 주1가 발달해 있다. 서넙도의 토양은 강수량이 많은 기후 특성 때문에 주2 풍화에 의해 형성된 풍화산물들이 주3ㆍ세탈되어 대부분 암석 산지를 이루어 표층에만 얇은 흙이 주4로 덮여 있다.

서넙도의 주요 식생은 곰솔 군락으로 관목층은 주로 졸참나무, 진달래가 출현하고 있으며, 사스레피나무, 작살나무, 자금우, 마삭줄, 자귀나무, 청미레덩굴 등도 기록되었다. 민가와 주5에 칡 군락, 고사리 군락, 개망초 군락, 망초 군락, 환삼 덩굴, 억새, 수크령 군락 등이, 해안에는 갯잔디, 천일사초 군락 등이 출현하였다. 서넙도에 서식하는 곤충은 주6, 주7, 주8, 주9, 주10, 주11, 사마귀목, 주12, 주13, 주14 등 10목 221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류는 19종이 서식한다. 법정 보호종은 없다.

보길도 일원의 다도해 지역은 우리나라 기후 구분상 남해안형에 속하는 곳으로 북적도 해류인 쿠로시오에서 갈라져 나온 쓰시마 난류와 황해 주15의 영향을 크게 받아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기온의 연교차가 작고 온화하여 강수가 많이 내리는 것이 특징이다. 즉 연평균 기온은 13~15℃이고, 최난월(8월) 평균 기온은 약 25.6℃를 나타내며 최한월(1월) 평균 기온은 약 2.7℃ 정도로 가장 추운 1월의 경우에도 영상의 기온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온대성 습윤기후(Ca)의 특성을 나타낸다. 연평균 강수량은 1,460mm로 우리나라 다우 지역 중 하나이며, 특히 장마 전선과 태풍 빈도에 따라 연 강수량의 편차가 큰 편으로 2,500mm를 넘는 연 강수량을 나타내기도 한다.

현황

2022년 12월 말 기준으로 인구는 164명(남 93명, 여 7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89세대이다. 취락은 서넙도항이 있는 동쪽 해안의 중앙부에 집중해 있다. 매년 주16 마을의 안녕을 축원하는 제를 지낸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06㎢, 임야 0.13㎢이다. 주민들은 농업과 어업의 겸업에 종사하고 있다. 농산물로는 콩 · 고구마 · 마늘 · 배추 · 무 · 고추 등이 생산되나, 식량의 자급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근해에서 전복과 톳 등이 주로 어획되며, 김 · 전복 등의 양식업도 활발하다. 교통은 해남 땅끝항에서 서넙도항까지 정기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으며, 노화도 이목항에서 서넙도항까지 정기 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넙도초등학교 서리분교장이 있고, 의료 시설로 노화서넙도보건진료소가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대한민국 도서백서』 (행정안전부, 2011)
『about전남의섬』 (전라남도, 2016)
『완도통계연보』 (완도군, 2022)
『행정안전부 유인섬 현황 자료』 (행정안전부, 2023)

인터넷 자료

해양수산부 연안도서(www.coast.kr)
주석
주1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2

겉흙의 아래에 놓여 있는 굳은 암석. 우리말샘

주3

빗물이나 지하수가 암석을 용해하여 침식하는 현상. 석회암으로 된 지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으로, 특히 이산화 탄소를 함유한 물은 석회암을 용해하여 돌리네, 종유굴 따위의 특이한 지형을 만든다. 우리말샘

주4

암석의 풍화 분해물이 그 암석 위에 그대로 쌓여서 된 흙. 우리말샘

주5

부치다가 갈지 아니하고 내버려둔 땅. 우리말샘

주6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온몸이 인편(鱗片)으로 덮여 있고 나방류를 제외한 종류는 대롱 모양의 빠는 입을 가졌다. 애벌레는 가슴에 3쌍, 배에 2~5쌍의 다리가 있다. 전 세계에 60여 과 13만여 종이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7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찔러서 빨아 먹는 입 틀을 가지며, 앞날개는 반시초(半翅鞘)를 형성한다. 우리말샘

주8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앞날개는 딱딱하고 가죽질로 된 딱지날개이며 그 속에 얇은 막으로 된 뒷날개가 있다. 입은 저작형(咀嚼型)이고 완전 변태를 한다. 곤충류 전체의 약 40%를 차지하는데 전 세계에 25만여 종이 있다. 우리말샘

주9

우리말샘

주10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몸은 원통형이고 둥글넓적하다. 앞날개는 단단하고 뒷날개는 부채 모양이며 뒷다리가 굵어서 잘 뛴다. 불완전 변태를 하며 메뚜깃과, 귀뚜라밋과, 여칫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1

곤충강의 한 목. 날개는 막성으로 투명하고 시맥이 적으며 날개가 없는 것도 있다. 암컷의 꼬리 끝에는 산란관 또는 그것의 변형인 독침이 있다. 고도로 발전된 사회생활을 하고, 애벌레는 구더기 모양이며 완전 변태를 한다. 개미벌과, 꿀벌과, 송곳벌과, 잎벌과, 좀벌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2

곤충강의 한 목. 큰 겹눈, 씹는 입, 두 쌍의 날개가 있으며 불완전 변태를 한다. 잠자릿과, 물잠자릿과, 부채장수잠자릿과, 실잠자릿과, 왕잠자릿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3

곤충강의 한 목. 뒷날개는 퇴화하였고 발달된 한 쌍의 날개와 큰 겹눈 및 세 개의 홑눈이 있다. 입은 빨거나 핥기에 적당하고 대개 난생으로 완전 변태를 한다. 파리, 모기, 등에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4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성충의 몸의 길이는 5mm 정도이며, 입틀은 퇴화하고 생식공은 한 쌍이다. 물속에 알을 낳으며 애벌레는 아가미로 숨을 쉬고 불완전 변태를 한다. 꼬리하루살잇과, 알락하루살잇과, 하루살잇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5

제주도 서부 해역을 지나 황해 남부로 북상하는 구로시오 및 쓰시마 난류의 지류. 우리말샘

주16

음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날.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