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양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노섬(櫓島), 뇌섬(雷島), 사량도(四梁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0.91㎢
길이
해안선 4.0㎞
소재지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사양도(泗洋島)는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에 있는 섬이다. 동북쪽에 있는 내나로도(內羅老島)와 동남쪽에 있는 외나로도(外羅老島) 사이의 좁은 수로를 끼고 있다. 서쪽에는 수락도(水落島)가 있고, 남쪽에는 애도(艾島)가 있다. 면적은 0.91㎢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4.0㎞이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지명은 섬을 중심으로 큰 바다를 이루며 네 곳으로 물이 드나든다는 뜻에서 사양(泗洋)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에 있는 섬.
개설

사양도(泗洋島)는 주1 127°30′, 주2 34°30′에 위치한다. 동북쪽에 있는 내나로도(內羅老島)와 동남쪽에 있는 외나로도(外羅老島) 사이의 좁은 수로를 끼고 있다. 서쪽에는 수락도(水落島)가 있고, 남쪽에는 애도(艾島)가 있다. 면적은 0.91㎢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4.0㎞이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명칭 유래

지명은 섬을 중심으로 큰 바다를 이루며 네 곳으로 물이 드나든다는 뜻에서 사양(泗洋)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또 옛날에는 뇌섬(雷島)이라 부르기도 하였고, ‘각시여’에서 노가 밀렸다고 하여 노섬(櫓島)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 『해동지도(海東地圖)』 등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泗洋島’가 아닌 ‘四梁島(사량도)’로 표기되어 있다.

변천

조선 선조영암군에 거주하던 김덕상이 주3를 피해 사양도에 들어와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후 장성군에서 고씨, 고흥군 동강에서 신씨가 들어와 정착하였다. 사양도는 김해 김씨, 장흥 고씨, 고령 신씨 등이 주4을 이루고 있다. 사양도(泗洋島)는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에 속한 섬으로, 1914년에 이뤄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지질은 대부분 화강암류와 중성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에는 기복이 비교적 큰 산지인 봉화산(최고 높이 207.3m)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내리다가 북쪽과 동쪽 사면은 기울기가 가파르지 않는데, 이들 완사면 지대는 농경지로 이용된다. 해안은 사질해안(沙質海岸)이 많으나 남쪽 해안에는 높은 주5가 발달하여 있다. 해안선은 드나듦이 적어 단조로운 편이다.

사양도에 자생하는 상록 주6 종은 후박나무,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보리장나무, 사철나무, 자금우, 모람 등이다. 보존이 필요한 지역 특징 종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양도의 주요 식생은 곰솔 군락으로 관목층은 주로 졸참나무, 진달래가 있으며, 사스레피나무, 작살나무, 자금우, 마삭줄, 자귀나무, 청미레덩굴 등도 기록되었다. 그 외 소나무 군락, 졸참나무 군락, 소사나무 군락, 붉가시나무 군락 등도 분포하고 있다. 민가와 휴경지에 군락, 고사리 군락, 개망초 군락, 망초 군락, 환삼덩굴, 억새 등이 출현한다.

사양도에 서식하는 육상 동물은 인근 외나로도와 비슷할 것이다. 곤충은 주7, 주8, 대벌레목, 주9, 주10, 주11, 주12, 사마귀목, 주13, 주14, 주15주16 221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류는 28종이 관찰된다. 법정 주17은 1종이다. 이 중 멸종 주18Ⅰ급은 없다. 멸종위기Ⅱ급은 1종이다. 멸종위기Ⅱ급은 새매이다.

한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흥군 지역의 기후는 온대 해양성 주19로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온난건조한 특성을 보인다. 한편 남해안을 흐르는 주20의 영향으로 겨울의 기온은 비교적 온화하다. 연평균 기온은 약 13.5℃이며, 최한월(1월) 평균 기온은 1.2℃, 최난월(8월) 평균 기온은 26.7℃이고, 기온 주21는 25.7℃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68mm로서 우리나라 다우 주22 중 하나이다.

현황

2022년 12월 말 기준으로 인구는 154명(남 85명, 여 6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5세대이다. 취락은 선착장이 있는 북쪽과 동쪽 해안 일대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0.03㎢, 0.38㎢, 임야 0.31㎢이다.

청정 주23으로 많은 어족이 서식하고 있고, 동백나무, 후박나무, 약초 등이 풍부하게 자생하고 있다. 주민들은 농업보다 어업에 더 많이 종사한다. 주24는 남해 어장의 중심 수역 일부를 이루어 부근 해역에서 삼치, 멸치, 전어, 가자미, 쥐치, 도미, 민어, 고등어 등이 잡힌다. 섬에서 통조림, 건어물, 젓갈 등의 수산 가공업이 활발하다. 또한 , , 대합, 조개류 양식이 성행하며 농산물로는 , 보리, 고구마, , , , 마늘 등이 소량 생산된다. 대형 안강망 주25을 보유하고 있다. 사양도는 고소득 마을로 경제 동향 보고 지정 마을이다. 의료 시설로 사양 보건 진료소가 있다.

내나로도(동일면)와 사양도를 잇는 사양교가 2018년에 준공되어 차량으로 왕래할 수 있게 되었다. 사양교는 총 391억 원을 투입해 2013년 9월 공사를 시작하여, 주교량(와랜트러스) 220m와 접속교(강합성 박스교) 2개소 200m 등 총 420m로 설치됐으며, 도로 폭은 10.5m 왕복 2차로로 이뤄져 있다.

1981년 12월 23일에 제14호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건설부 고시 478호)이 되었다. 고흥 분소는 1997년 11월 7일에 개소하였고 나로도 지구에 속한다. 나로도 지구는 고흥군 남부의 발포 해수욕장 부근 일대와 외나로도 전 지역이 국립 공원 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지명요람』 (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대한민국 도서백서』 (행정안전부, 2011)
『about전남의섬』 (전라남도, 2016)
『행정안전부 유인섬 현황 자료』 (행정안전부, 2023)

인터넷 자료

해양수산부 연안 포털(coast.mof.go.kr)
주석
주1

지구 동반구의 경도. 본초 자오선을 0도로 하여 동쪽으로 180도까지의 경선이다. 우리말샘

주2

적도로부터 북극에 이르기까지의 위도. 적도를 0도로 하여 북극의 90도에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전쟁이나 무질서한 정치 따위로 어지러워 살기 힘든 세상. 우리말샘

주4

같은 성(姓)을 가진 사람이 모여 사는 촌락. 우리말샘

주5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6

사철 내내 잎이 푸른 활엽수. 우리말샘

주7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온몸이 인편(鱗片)으로 덮여 있고 나방류를 제외한 종류는 대롱 모양의 빠는 입을 가졌다. 애벌레는 가슴에 3쌍, 배에 2~5쌍의 다리가 있다. 전 세계에 60여 과 13만여 종이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8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찔러서 빨아 먹는 입 틀을 가지며, 앞날개는 반시초(半翅鞘)를 형성한다. 우리말샘

주9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앞날개는 딱딱하고 가죽질로 된 딱지날개이며 그 속에 얇은 막으로 된 뒷날개가 있다. 입은 저작형(咀嚼型)이고 완전 변태를 한다. 곤충류 전체의 약 40%를 차지하는데 전 세계에 25만여 종이 있다. 우리말샘

주10

곤충강의 한 목. 두 쌍의 날개가 있으나 변화ㆍ퇴화한 것도 있고, 아랫입술이 바늘 모양으로 변하였다. 거품벌렛과, 매밋과, 매미충과, 진딧물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1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몸은 원통형이고 둥글넓적하다. 앞날개는 단단하고 뒷날개는 부채 모양이며 뒷다리가 굵어서 잘 뛴다. 불완전 변태를 하며 메뚜깃과, 귀뚜라밋과, 여칫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2

곤충강의 한 목. 날개는 막성으로 투명하고 시맥이 적으며 날개가 없는 것도 있다. 암컷의 꼬리 끝에는 산란관 또는 그것의 변형인 독침이 있다. 고도로 발전된 사회생활을 하고, 애벌레는 구더기 모양이며 완전 변태를 한다. 개미벌과, 꿀벌과, 송곳벌과, 잎벌과, 좀벌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3

곤충강의 한 목. 큰 겹눈, 씹는 입, 두 쌍의 날개가 있으며 불완전 변태를 한다. 잠자릿과, 물잠자릿과, 부채장수잠자릿과, 실잠자릿과, 왕잠자릿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4

절지동물문 곤충강의 한 목. 몸은 대체로 길고 납작하며, 머리는 삼각형 또는 오각형이다. 앞날개는 혁질로 짧고 뒷날개는 막성으로 크며 꼬리마디에는 집게가 있다. 우리말샘

주15

곤충강의 한 목. 뒷날개는 퇴화하였고 발달된 한 쌍의 날개와 큰 겹눈 및 세 개의 홑눈이 있다. 입은 빨거나 핥기에 적당하고 대개 난생으로 완전 변태를 한다. 파리, 모기, 등에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6

생물 분류의 한 단위. 과(科)의 위이고 강(綱)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17

멸종 위기에 처해 있거나 서식지의 파괴 따위로 특별히 보호해야 할 동식물을 국가가 법으로 정하여 놓은 종(種). 우리말샘

주18

생물의 한 종류가 아주 없어질 위험한 고비나 시기. 우리말샘

주19

대양이나 섬에서 잘 나타나는 기후. 바다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변화가 적고 습도가 높으며, 구름과 강수량이 많다. 우리말샘

주20

적도 부근의 저위도 지역에서 고위도 지역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 남색을 띠며, 투명하고 소금기가 많다. 우리말샘

주21

1년 동안의 각 달의 평균 기온 중에서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 우리말샘

주22

일정 기간 동안에 다른 지방보다 기준량 이상으로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우리말샘

주23

해양 오염이 없는 깨끗한 바다. 우리말샘

주24

거리로 따졌을 때, 육지에 가까이 있는 바다. 우리말샘

주25

안강망으로 물고기를 잡는 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