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세창 ()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형조참판, 대사헌,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번중(蕃仲)
돈재(遯齋)
시호
문장(文莊)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81년(성종 12)
사망 연도
1548년(명종 3)
본관
창녕(昌寧)
주요 관직
홍문관정자|사간원헌납|강원도관찰사|형조참판|대사헌|형조판서
관련 사건
기묘사화|을사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형조참판, 대사헌,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번중(蕃仲), 호는 돈재(遯齋). 성엄(成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한성부사 성염조(成念祖)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성현(成俔)이다. 어머니는 이숙(李塾)의 딸이다.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1년(연산군 7) 식년시에서 생원과 진사에 모두 합격하였다. 1507년(중종 2)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정자에 임용되었다. 이어 저작(著作) · 박사(博士)로 승진되었고 사간원정언을 지냈다. 1509년 이조정랑을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었으나, 이조정랑 재임 시 인사 행정이 불공정하였다는 이유로 서반(西班)으로 좌천되기도 하였다.

그 뒤 다시 동반(東班)으로 복직되어 사간원헌납 · 홍문관교리 · 사헌부집의 등 삼사(三司)의 요직을 거쳤고, 사간원사간으로서 천문이습관(天文肄習官)을 겸임하였다. 1518년에 조광조(趙光祖) 등이 현량과(賢良科)를 실시하려 하자, 예조 관원으로 있으면서 그 폐단을 지적하고 불가함을 주장하였다.

1519년 정국이 위태롭게 되어가자 평소 친했던 김정(金淨) · 이자(李耔) · 김수온(金守溫)의 의기를 충고하고 자신은 신병을 이유로 파주 별장에 거처하면서 화를 피하였다. 1521년 다시 홍문관직제학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이어서 형조참판에 임명되었고 주문사(奏聞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나 관하 선산군수가 여악(女樂)을 설치한 것이 빌미가 되어 탄핵을 받고 일시 파직되었다. 그 뒤 성균관대사성 · 동지중추부사 ·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정광필(鄭光弼)이 영의정이 되면서 예조참판 · 이조참판이 되어 기묘사화에 죄를 입은 사람들을 등용시키는 데 힘썼다.

함경도관찰사를 거쳐 1530년 대사헌 · 홍문관부제학으로 있으면서 권신(權臣) 김안로(金安老)를 논척(論斥)하려다가 도리어 평해에 유배되었다. 그러다가 1537년 김안로와 그 일당이 숙청되면서 귀양에서 풀려나 한성부우윤 · 형조판서 · 이조판서 · 대사헌 · 예조판서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

일시 지중추부사로 있다가 곧 형조판서가 되었고 이어서 예조판서 · 호조판서 · 의정부우찬성에 올랐다. 1545년(인종 1) 좌찬성을 거쳐 우의정으로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는 도중 좌의정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판중추부사 · 영경연사 · 홍문관대제학 · 예문관대제학 · 지성균관사 등을 겸임하였다.

그러나 이 해에 을사사화가 일어나 윤임(尹任) 등이 숙청되고 윤원형(尹元衡) 등이 실권을 장악하면서 그들에게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고 마침내 황해도 장연(長淵)으로 귀양갔다가 죽었다. 선조 때에 복작되었다.

학식과 문장이 뛰어나 오랫동안 홍문관에서 봉직했으며 문형(文衡)을 맡아 많은 선비들의 존경을 받았다. 필법에 뛰어났고 글씨 · 그림 · 음률에 정통하여 3절(三絶)이라 불렸다. 저서로는 『돈재집(遯齋集)』 · 『식료찬요(食療纂要)』가 있다.

글씨로는 파주의 「성이헌여완갈(成怡軒汝完碣)」, 경기도 광주의 「부사정광보묘비(府使鄭光輔墓碑)」 · 「이집의수언묘비(李執義粹彦墓碑)」, 파주의 「성지사세명묘비(成知事世明墓碑)」, 용인의 「정포은갈(鄭圃隱碣)」, 홍주의 「민대사헌휘비(閔大司憲暉碑)」, 익산의 「소자파표(蘇自坡表)」 등이 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종실록(仁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야승(大東野乘)』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
『유분록(幽憤錄)』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