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효소왕릉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신라 효소왕릉 정측면
경주 신라 효소왕릉 정측면
고대사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32대 효소왕의 능. 왕릉.
이칭
이칭
신라효소왕릉, 효소왕릉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경주 효소왕릉(慶州 孝昭王陵)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69년 08월 27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조양동 산8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제32대 효소왕의 능. 왕릉.
개설

효소왕릉은 1969년 8월 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일대 면적은 1만 5,385㎡이다. 형제산의 남쪽 산기슭에 자리하며 이 왕릉 동쪽에는 제33대 성덕왕릉이 있다. 1730년(영조 6)에 김씨 일족에 의해 성덕왕릉의 형제 능이라는 이유로 효소왕릉을 이곳으로 비정한 이래 따르고 있다.

효소왕의 성은 김씨, 이름은 이홍(理洪, 또는 理供)으로, 제31대 신문왕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목왕후(神穆王后)이다. 692년에 즉위하여 702년에 승하할 때까지 10년간 재위하면서 모든 제도를 정비하고 당나라·일본 등과 수교하였다. 왕이 승하한 뒤 망덕사(望德寺) 동쪽에 장사지냈다고 한다.

내용

왕릉의 크기는 지름 10.3m, 높이 4.3m, 둘레 57.5m이다. 외부 모습은 흙으로 덮은 원형봉토분(圓形封土墳)이며 묘제는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밑둘레에는 40∼50㎝의 자연석을 사용하여 왕릉을 보호하기 위해 둘레돌을 1m정도 쌓아올렸다. 그러나 지금은 둘레돌이 대부분 묻혀 있다.

현재의 왕릉은 1929년 4월, 1969년 11월에 도굴을 당했다. 특히 두 번째 도굴로 돌방의 규모가 드러났는데, 길이 3m 너비 150㎝ 높이 150㎝의 크기였다. 돌방에 사용된 돌은 화강석이었으며, 돌방 안에 부장된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현재의 효소왕릉에 대해서는 이견이 제기되어 있다. 무덤 앞에 있는 혼유석(魂遊石)이 빈약하고 무덤의 규모도 작아 통일신라기의 왕릉으로는 생각할 수 없어 효소왕릉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그리고 지금의 효소왕릉은 현재의 망덕사터의 남남동 방향 약 8㎞ 거리에 해당하므로 망덕사 바로 동쪽에 장사지냈다는 기록과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의 망덕사터에서 동으로 200m 미만의 가까운 거리에 인접해 있는 사적으로 지정된 신문왕릉이 효소왕릉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신문왕릉은 경주 남산에 있는 황복사지 3층석탑(皇福寺址三層石塔)에서 동편으로 약 250m 거리에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 이는 능의 위치로나 둘레돌의 축조상태로 보아서 부합된다는 것이다. 특히 둘레돌은 자연석을 다듬은 소형 석재로 바뀌고 갑석(甲石)과 지대석이 처음으로 갖추어지고 기단식으로의 이행단계에 있으며 삼각형에 가까운 구형(矩形)의 버팀석이 처음으로 출현한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분연구』(강인구, 학연문화사, 2000)
『문화재대관-사적편-』(문화재관리국, 1975)
「경주지역문화유적보존개발계획」(경상북도·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6)
「신라 십이지신상의 분석과 해석」(강우방,『불교미술』1, 1973)
집필자
김선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