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유록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문헌
고려시대부터 18세기 무렵까지의 산수유기(山水遊記)를 모아 엮은 견문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부터 18세기 무렵까지의 산수유기(山水遊記)를 모아 엮은 견문록.
내용

7권 7책. 필사본. 편자 · 연대는 미상이다. 수록자료가 18세기 인물의 글을 하한으로 하고 있어 18세기 후반에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와유록』은 조선 중기 이후 문인들의 산수유람 욕구가 매우 강해짐에 따라 산수유람의 기록을 모아 유람의 안내서 구실을 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직접 산수를 찾을 수 없는 사람들이 문헌을 통하여 유람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인 성격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도서에 있는 『와유록』과 유사하나 수록하고 있는 자료는 서로 다르다. 장서각본은 필자의 신분과 시대, 성향에서 다양성을 보이고 있지만, 이 책은 조선 중기 이후 노론들이 남긴 유산기록이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이 책의 체재는 역대의 산수유기를 지역별로 나누어 권1과 권2는 송도(松都)지역, 권3∼권6은 관동(關東)지역, 권7은 관북(關北)지역을 대상으로 한 문장을 뽑아 수록하였다. 각 권 내부에서는 대체로 제작 시기별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몇 곳은 오히려 고려시대 것을 뒤에 싣기도 하였다.

송도지역에는 유호인(兪好仁) · 채수(蔡壽) · 남효온(南孝溫) · 박은(朴誾) · 김안국(金安國) · 임운(林芸) · 성혼(成渾) · 이정귀(李廷龜) · 김육(金堉) · 조찬한(趙纘韓) · 박장원(朴長源) · 김수증(金壽增) · 김창협(金昌協) · 오원(吳瑗) · 박성원(朴聖源) 등의 것이 실려 있다.

관동지역에는 이이(李珥) · 허목(許穆) · 송광연(宋光淵) · 김창흡(金昌翕) · 김수증 · 홍태유(洪泰猷) · 박성원 · 김수항(金壽恒) · 오원 · 박장원 · 박태보(朴泰輔) · 유언전(兪彦銓) · 무외(無畏) · 이산해(李山海) · 이곡(李穀) · 조한기(趙漢紀) · 임춘(林椿) · 안축(安軸) · 김시습(金時習) · 남효온 · 이제원(李悌元) · 홍인우(洪仁祐) · 이정귀(李廷龜) · 정엽(鄭曄) · 이경석(李景奭) · 윤선거(尹宣擧) 등의 것이 실려 있다.

관북지역에는 임형수(林亨秀) · 이안눌(李安訥) · 이동언(李東彦) · 허봉(許篈) · 남구만(南九萬) · 최창대(崔昌大) · 박성원 · 이의철(李宜哲) · 서명응(徐命膺) 등의 것이 실려 있다.

유만주(兪晩柱)『흠영(欽英)』에서 족조(族祖) 유척기(兪拓基)가 『와유록』 10여 권을 편찬하였다는 기록이 이 책을 가리킬 수도 있다. 유척기가 편자라면, 『와유록』에 1766년 쓴 서명응(徐命膺)의 「유백두산기(遊白頭山記)」가 수록되어 있고 유척기가 1767년에 죽은 것을 고려할 때, 1766년이나 그 이듬해 이 책을 편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지금 전하지 않는 권8에서 권10까지에 관서 · 영남 · 호남지역의 산수유기가 수록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에 유일본으로 전한다.

참고문헌

「와유록 해제(臥遊錄 解題)」(이종묵,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