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에 따르면 유성은 이찬(伊湌)으로, 신라 제36대 혜공왕(惠恭王, 재위: 765779)의 원비(元妃)인 신보왕후(新寶王后)의 아버지이다. 그런데 혜공왕의 선비(先妃)에 대해 『삼국유사』에서는 위정(魏正) 각간(角干)의 딸인 신보왕후로 나온다. 이에 대해 유성과 위정은 서로 같은 인물을 표기한 것으로 보고, 경덕왕(景德王, 재위: 742765) 초에 중시(中侍)에 임명된 유정(惟正)과도 동일인으로 파악한다. 다만 유정은 혜공왕이 그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였을 때 중시에서 퇴임한 이후 약 20여 년이 지났을 때라는 점에서 유성 및 위정과 동일인으로 보지 않는 시각도 있다.
혜공왕에게는 두 명의 왕비가 있었다. 유성의 딸과 함께 이찬 김장(金璋)의 딸〔(『삼국유사』에는 각간(角干) 김장(金將)의 딸〕) 창창부인(昌昌夫人)이 왕비가 되었는데, 이들의 혼인 시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첫 번째 왕비는 혜공왕의 모후인 만월부인(滿月夫人)에 의한 섭정기, 두 번째 왕비는 혜공왕 7년(771) 무렵부터의 친정기(親政期)로 보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유성은 만월부인의 섭정을 도우며 정국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었던 지지 세력이었을 것이다. 아울러 만월부인 섭정기에 실권을 쥐고 있던 김옹(金邕)이 친당적(親唐的) 성격을 가지고 있었던 점에서 유성 역시 이에 동조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혜공왕은 친정을 시작하며 만월부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새로운 세력의 두 번째 왕비를 받아들였다. 선비(先妃)로 칭해진 경우는 출궁을 당한 사례가 대부분이므로 이때에 신보왕후는 출궁 당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왕비의 세력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는데, 오히려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는 점에서 기존 귀족과는 구별되는 세력과 혼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혜공왕의 행보에 대해 기존 귀족들의 반발이 있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혜공왕 13년(777) 상대등(上大等)이었던 김양상(金良相)이 시정(時政)에 대해 극론(極論)하였다는 점도 기존 세력들을 배제한 혜공왕의 두 번째 혼인에 대한 반발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