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부인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경덕왕의 후비이자 혜공왕의 어머니.
이칭
시호
경수왕후(景垂王后), 경목왕후(景穆王后), 경수태후(景垂太后)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만월부인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경덕왕의 후비로서 혜공왕의 어머니이며, 김의충의 딸이다. 선비 삼모부인이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출궁되자, 734년에 후비로 들어갔다. 765년 혜공왕이 즉위하였으나 나이가 8세로 어려 만월부인이 태후로서 섭정하였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경덕왕의 후비이자 혜공왕의 어머니.
가계 및 인적 사항

서불한(舒弗邯) 김의충(金義忠)의 딸이다. 경덕왕의 선비(先妃) 삼모부인(三毛夫人)이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출궁되자, 734년(경덕왕 2) 후비(後妃)가 되어 혜공왕(惠恭王) 건운(乾運)을 낳았다. 『삼국유사』 왕력(王曆)에 따르면, 시호(諡號)가 경수왕후(景垂王后) 또는 경목왕후(景穆王后)라고 한다.

아버지 김의충은 『삼국유사』에 의충(依忠) 각간(角干)으로 표기되었는데, 735년(성덕왕 34)에 하정사(賀正使)로 당나라에 파견된 바 있다. 737년(효성왕 즉위년)에는 아찬(阿飡)의 관등으로 시중(侍中)이 되었고, 739년(효성왕 3)에 사망하였다.

내용

성덕대왕신종명(聖德大王神鍾銘)을 통해서 혜공왕대의 권력자 김옹(金邕)과 만월부인이 남매지간이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이렇게 볼 경우, 『속일본기(續日本記)』에서 김옹이 경덕왕의 선비 삼모부인의 아버지인 김순정(金順貞)의 손(孫)이라고 하였으므로, 경덕왕의 선비 삼모부인과 후비 만월부인은 고모와 조카 사이가 된다. 이에 대해 같은 김순정 계열이라면 왕비를 교체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경덕왕은 나라가 위태롭게 될 것이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표훈(表訓) 대덕(大德)이 천제(天帝)에게 아들을 간청하게 하였고, 결국 만월부인이 태자 건운을 낳게 되었다는 설화가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765년 혜공왕의 즉위 당시 나이가 8세로 어려서 태후(太后)인 만월부인이 섭정하였다. 만월부인의 섭정이 끝나고 혜공왕의 친정(親政)이 시작된 시기에 대해서는 왕의 연령이 18세가 되는 775년(혜공왕 11)과 15세가 되는 772년(혜공왕 8), 14세가 되는 771년(혜공왕 7) 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성덕대왕신종명(聖德大王神鐘銘)」
『속일본기(續日本記)』

단행본

이영호, 『신라 중대의 정치와 권력구조』(지식산업사, 2014)

논문

이현주, 「신라 중대 왕모의 칭호와 위상 – 혜공왕대 만월태후를 중심으로」(『한국고대사연구』 85, 한국고대사학회, 2017)
김수태, 「신라 혜공왕대 만월부인의 섭정」(『신라사학보』 22, 신라사학회, 2011)
이영호, 「통일신라시대의 왕과 왕비」(『신라사학보』 22, 신라사학회, 2011)
이문기, 「신라 혜공왕대 오묘제 개혁의 정치적 의미」(『백산학보』 52, 백산학회, 199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