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춘 ()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신라 제25대 진지왕의 아들인 왕자.
이칭
이명
김용수(金龍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사신(私臣)|대장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용춘은 신라 중고기의 왕족으로서,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의 아버지이다. 용수라고도 불렸으며, 사후 문흥대왕으로 추봉되었다. 내성 사신을 역임하고 고구려 낭비성 공격에서 활약하였으며, 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을 주관하였다.

정의
삼국시대 신라 제25대 진지왕의 아들인 왕자.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용춘(金龍春)은 진지왕(眞智王)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기오공(起烏公)의 딸 지도부인(知道夫人)이다. 진평왕(眞平王)의 딸 천명부인(天明夫人)과 혼인하여 태종무열왕이 되는 김춘추(金春秋)를 낳았다. 『삼국사기』 622년(진평왕 44) 2월 및 635년(선덕왕 4) 10월 기사와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慶州皇龍寺九層木塔金銅刹柱本記)」에는 용수(龍樹)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단, 용수가 622년에 이미 이찬(伊湌)의 관등을 소지하고 있음과 달리, 「김유신」 열전에는 629년(진평왕 51) 고구려 낭비성(娘臂城) 공격 당시 용춘의 관등이 파진찬(波珍湌)으로 나와 용수와 용춘을 별도의 인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635년(선덕왕 4) 10월 기사와 『삼국유사』 '황룡사구층탑조'에 용춘과 용수가 동일인이라는 주석이 달려 있어 같은 인물의 이칭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덕왕의 즉위와 관련하여 진평왕 사망 당시 “ 성골(聖骨) 남자가 없어서” 성골 여성이 즉위하게 되었다는 언급이 남아 있어, 당시 용수는 진지왕의 아들임에도 성골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성골과 진골의 구분에 대해서는 기록에 그 기준이 남아 있지 않으므로, 용춘이 성골이 아니었던 이유에 대한 해석을 통해 그 구분 기준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아버지 진지왕의 폐위를 계기로 신분이 격하되었다는 견해와, 성골은 진평왕의 아버지인 동륜태자(銅輪太子)의 직계만을 대상으로 생성되었다는 견해, 왕궁에 거주하는 왕과 그 형제 등 공동가족이 성골로 구분되어 새로운 왕이 즉위하면 전왕(前王)의 형제 등은 진골이 되었다는 견해, 단순히 어머니 지도부인의 신분이 성골이 아니어서 용춘이 성골일 수 없었다는 견해 등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었다. 『삼국유사』 '도화녀비형랑조(桃花女鼻荆郎条)'에 나오는 비형랑(鼻荊郞)이 곧 용춘이라는 견해도 있다.

주요 활동

622년(진평왕 44) 2월에 왕실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내성(內省) 사신(私臣)으로 임명되어 대궁(大宮)과 양궁(梁宮), 사량궁(沙粱宮)을 함께 관장하였다. 629년(진평왕 51) 8월에는 대장군으로서 김서현(金舒玄) · 김유신(金庾信) 등과 함께 고구려의 낭비성을 공격하여 함락시키는 전공을 세웠다. 635년(선덕왕 4) 10월에는 이찬 수품(水品)과 함께 주(州)와 현(縣)을 다니며 위무(慰撫)하는 임무를 맡아 수행하였다.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에 따르면, 선덕왕의 명을 받고 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을 주관하였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태종무열왕은 즉위 직후인 654년(태종무열왕 1) 4월에 김용춘을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追封)하였다. 『삼국유사』 왕력(王曆)에는 "용춘 각간 문흥갈문왕(文興葛文王)"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 687년(신문왕 7) 3월 신문왕의 조묘(祖廟) 치제(致祭) 기사에서 태조대왕, 진지대왕, 태종대왕, 문무대왕과 더불어 오묘(五廟)에 해당한다고 여겨지는 5위(位)에 모셔져 있었음이 확인된다.

참고문헌

원전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慶州皇龍寺九層木塔金銅刹柱本記)」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今西龍 箸(이부오·하시모토 시게루 譯), 『이마니시 류의 신라사 연구』(서경문화사, 2008)
이종욱, 『신라골품제연구』(일조각, 1999)
이기동, 『신라 골품제사회와 화랑도』(일조각, 1984)

논문

이재환, 「신라의 ‘골품제’, 그간의 논의와 약간의 전망」(『한국고대사연구』 87, 한국고대사학회, 2017)
金基興, 「桃花女 · 鼻荊郞 설화의 역사적 진실」(『韓國史論』 4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9)

인터넷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https://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g)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유사(https://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y)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고대금석문(https://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gskh)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